◇ 국민들은 '경제 정상궤도 도약' 및 '민생경제 회복 본격화'와 함께 미래를 대비한 '차세대 성장동력 보강'을
주요 정책방향으로 응답
☞ '22년에는 위기를 넘어 완전한 경제 정상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는 한편, 선도형 경제기반 공고화에도 정책 역량 집중
1. 경제상황 평가 및 '22년 경제정책방향
1) (경제상황 인식)올해 및 내년 경제상황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반면, 국민들은 올해 상황을 상대적으로 어렵다고 인식
* 전년도 대비 ‘비슷하다’ 또는 ‘좋아졌다(좋아질 것)’ 답변 비율
: [’21년 경제상황] (국민) 33.9 (전문가) 73.1 [’22년 경제전망] (국민) 68.9 (전문가) 82.5
ㅇ 한편 대외리스크로는 코로나19 재확산 및 인플레이션 장기화를, 대내리스크로는 자산시장 불안정 및 新양극화를 지목
* 대외리스크(%, 1위 답변) : [국민] 코로나19 재확산(26.8) [전문가] 인플레이션 장기화(24.3)
대내리스크(%, 1위 답변) : [국민] 자산시장 불안정(23.9) [전문가] 新양극화(35.9)
2) ('21년 경제정책 평가) ‘코로나19 방역 지원’이 가장 우수한 정책 으로 선정되었고, ‘부동산 시장 안정화’는 보완이 필요하다는 의견
3) ('22년 경제정책방향) 경제 정상궤도 도약, 민생경제 회복을 우선순위로 제기하면서, 성장동력 보강도 주요 과제로 응답
COPYRIGHT ⓒ 2019 KOREA DEVELOPMENT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