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6 건
유럽 출장을 다녀오면 호주머니가 동전으로 가득했던 때가 있었다. 영국 파운드, 프랑스 프랑, 독일 마르크 모양도 다양하고 크기도 달라 간수하는 데 애를 먹어야 했다....
김정호/한국경제신문 수석논설위원 2012.01.31 통권102호미션 컴플리티드(mission completed)! 컴퓨터 게임에 흔히 나오는 마지막 문장을 특수비밀요원 이단 헌트(톰 크루즈 역)가 외치며 핵무기를 제어 버튼을 누...
박병률/경향신문 기자 2012.01.31 통권102호2011년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9번째로 무역 1조 달러를 달성했다.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발표한 1962년 세계 65위였던 우리나라의 무역순위는 2011년 ...
정기원/외교통상부 FTA정책국 2등서기관 2012.01.31 통권102호이 세상에 어떤 제도건 100% 장점만 가지고 있을 수는 없다. 만일 그런 제도가 있다면 모든 나라가 이미 그 제도를 시행하고 있을 것이다. 정책이나 제도도 마찬가지...
서진교/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2012.01.31 통권102호통화량 관리의 통화정책을 담당하는 한국은행의 금융통화위원회는 금리수준을 결정함으로써 통화량을 관리한다. 이자율은 자금시장의 수요와 공급으로 결정되는데 금융통화위원회가...
이승훈/서울대 경제학부 명예교수 2012.01.31 통권102호※본칼럼은 외신 기사의 원문을 요약정리하여 전해드리고 있습니다 경기침체의 영향을 받지 않는 유일한 사업부문으로 소셜미디어 업계를 꼽을 수 있다 . 일례로 소셜미디어 ...
안기련/KDI 경제정보센터 2012.01.31 통권102호채권이라고 하면 왠지 어려운 용어로 생각하기 쉽습니다. 채권이란 국가기업금융기관이 일정기간 후 원금상환 및 이자지급을 조건으로 필요한 자금을 발행하는 유가증권을 말합...
박진채/KDI 경제정보센터 2012.01.31 통권102호제임스 토빈은 미국은 대표하는 케인지언(Keynesian, 영국의 경제학자 케인스의 이론을 따르는 학자들)이다. 1918년 미국 일리노이 주 섐페인에서 태어난 토빈...
김훈민/KDI 경제정보센터 2012.01.31 통권102호일본은 우리의 금융구조를 장악하기 위해 이 땅의 화폐와 재정을 정리하기 시작했다. 그 과정에서 우리나라는 총 1,300만원에 해당하는 국채를 발행하게 되었다. 이에...
차성훈/KDI 경제정보센터 2012.01.31 통권102호학기가 지나면 수강 학생들의 성적을 평가하여 A+에 서 F까지 다양한 등급을 부여한다. 마찬가지로 장기부채를 조달하는 채무 증권인 채권도 등급 평가를 한다. 채권의 ...
김형철/백석대 교수 2012.01.31 통권102호지난 뉴스 한 토막, 유로존 재정위기 여파가 그리스를 넘어 이탈리아까지 위협하고 있다. 이탈리아의 10년물 국채금리가 7.4%를 넘어 위험수준에 이르렀다.는 기사가 ...
안홍식/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 2012.01.31 통권102호경제관련 뉴스를 보다 보면 채권 앞에 ‘김치’, ‘아리랑’, ‘양키’, ‘사무라이’, ‘불독’ 같은 이름이 붙는 채권들이 있다. 이름은 재미있어 보이는데 그게 무엇인...
김의경/한양증권 IB영업본부 이사 2012.01.31 통권102호예전 열린교육 연수에서 강사님이 200여 가지가 넘는 수업방법 중에서 가장 졸은 수업방법은 무엇인가? 라고 물은 적이 있었다. 선생님마다 다양한 답변을 했지만, 강사...
정재만/강화고 2012.01.31 통권102호지금까지 총 6회에 걸쳐 토론 프로그램 운영의 필요성과 학교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토론들의 운영 방안과 결과 활용방안을 서울중등독서토론논술교육연구회의 교...
박정준/서울중등독서토론논술교육연구회 서울 오산고 교사 2012.02.01 통권102호이번 달에는 채권시장의 대표지수인 KRX채권지수(KRX-BI: Korea Exchange Bond Index, 한국거래소)와 국고채프라임지수를 알아보자. 채권지수는 ...
남선혜/KDI 경제정보센터 2012.02.01 통권102호한국경제교육협회는 경제교육 활성화와 인프라 구축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한다. 사업마다 취지와 성격, 대상과 방식이 다르다 보니 점검해야 할 것도 여러 가지다. 그러나...
박지구/(사)한국경제교육협회 전략사업팀장 2012.02.01 통권102호COPYRIGHT ⓒ 2019 KOREA DEVELOPMENT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