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5 건
민간경제를 구성하는 가계와 기업은 다양한 방법으로 수입을 얻어 필요한 곳에 지출한다. 가계는 기업에 생산요소를 공급하는 대가로 소득을 얻어 필요한 소비활동을 영위하고...
김광호 한양대학교 경제금융학부 교수 2014.09.30 통권134호재정(public finance)은 정부가 공공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행하는 모든 경제적 활동으로 정의된다. 세입은 재정의 주된 수입원으로, 정부가 돈을 쓸 수 ...
민세진 동국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2014.09.30 통권134호본고에서는 정부재정의 기능별 세출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세출이란 특정 회계년도에 있어서의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그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일체의 지출을 지칭한다...
이철인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2014.09.30 통권134호정부가 드디어 쌀 수입을 관세화하기로 하였다. 쌀 수입 관세화란 무엇이며, 정부는 왜 쌀 수입을 관세화하려 하는지, 일부 농업인들은 왜 반대하는지 알아보자. | 무역...
이태호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교수 2014.09.30 통권134호제17회 인천 아시안게임에서 보듯이 축구·야구·육상을 비롯한 모든 운동 경기에는 규칙이 있다. 이 규칙은 해당 경기의 운영방식과 운동선수들의 전략적 선택과 행동을 규...
황인학 한국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2014.09.30 통권134호정부의 9.1 부동산 대책(이하 9.1대책)의 핵심은 수급 조절이다. 말하자면 수요는 늘리고 공급은 줄여 불균형을 해소하는 것이다. 정부는 인구구조와 산업구조 변화로...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 2014.09.30 통권134호‘명량’의 열기가 식을 줄 모른다. 사상 처음으로 관객 수 1,700만 명(2014년 9월 6일)을 돌파하며 한국영화 흥행기록을 경신하고 있는 ‘명량’은 여전히 관객...
김재현 농협경제연구소 거시금융연구실 책임연구원 2014.09.30 통권134호“당신 주변의 다른 사람과 생활수준을 비교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필자가 사람들의 비교성향을 알아보기 위해 전국 성인(20~69세) 남녀 3,00...
김희삼 한국개발연구원(KDI) 재정·복지정책연구부 연구위원 2014.09.30 통권134호스토리텔링은 추상적인 개념을 현실적인 이야기와 접목시켜 쉽고 친근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준다. 최근 수학 과목에서 많이 활용되는 스토리텔링의 수업 적용은 경제 과목...
윤승진 정의여자고등학교 교사 2014.09.30 통권134호역사 속에서 경제성장은 불균등하게 이루어져 왔다. 예전에 못살던 나라가 지금은 더 잘 살기도 하고, 예전에 영화를 누렸던 국가들이 이제는 최빈국으로 전락한 경우도 있...
고 선 중앙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2014.09.30 통권134호“먹고 살 정도의 벌이, 잘나가진 못해도 부끄럽지 않을 정도의 직함, 교통 편리한 곳에 아담한 집 한 채. 그리고 편안하고 튼튼한 차(車).” 요새 아이들이 꿈꾸는 ...
안광복 중동고등학교 철학교사 2014.09.30 통권134호아일랜드는 우리나라 못지 않게 교육열이 매우 높은 국가다. 개인의 잠재력을 최대한 이끌어낼 수 있도록 다양한 경험과 체험을 통한 교육에 많은 관심을 갖고 투자하고 있...
김나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전문연구원 2014.09.30 통권134호‘부안에서 사극을 찍으면 대박난다?’라는 영화 흥행법칙이 새로 생겼다고 한다. KBS ‘불멸의 이순신’ 드라마 촬영에 이어서 영화 ‘명량’의 촬영지가 바로 부안이기 ...
취재·정리 | 안선경·박진채 2014.09.30 통권134호마우스 클릭 한 번, 스마트폰 터치 한 번으로 내가 원하는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는 요즈음. 대구 영남고등학교 경제진로동아리 Y · E · C · C(이하 YEC...
취재 · 정리 | 박수정 · 박진채 2014.09.30 통권134호경제교육테마 테스트
2014.12.17 통권134호COPYRIGHT ⓒ 2019 KOREA DEVELOPMENT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