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9 건
첫 발령을 받고 교단에 섰을 당시 나는 생각했다. 지금껏 교사가 되기 위해 쌓아 온 지식을 학생들에게 열정적으로 가르치면 학생들은 열심히 공부해서 좋은 성적을 거두고...
이덕형 함양여자중학교 교사 2015.02.09 통권139호학생들의 경제이해력(economic literacy)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이고, 어떤 요인이 얼마만큼의 효과를 주는지에 대한 정보는 경제교육에 중요한 의미를...
김진영 KDI 경제정보센터 전문위원 2015.03.09 통권139호증자(曾子)가 말하였다. “나는 날마다 세 가지 기준을 가지고 스스로에 대해 반성한다[吾日三省吾身].” 유교 경전의 하나인 『논어(論語)』에 나오는 말로, 자신을 돌...
강문식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학예연구사 2015.03.09 통권139호하워드 슐츠(Howard Schultz) 스타벅스 회장은 그들의 성공 요인이 “커피를 파는 게 아니라 문화를 팔기 때문”이라는 다소 엉뚱한 주장을 한 적이 있다. 스...
차성훈 KDI 경제정보센터 전문연구원 2015.03.09 통권139호한 마트의 시식코너 판매원이 지나가는 외국인을 향해 구운 불고기를 먹어볼 것을 권유하였다. 외국인은 무슨 고기로 만든 식품이냐고 물었다. 판매원이 돼지고기로 만든 음...
서현원 KDI 경제정보센터 전문연구원 2015.03.09 통권139호식문화(食文化)는 단순히 음식을 먹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기후와 토양에 적합한 식재료를 생산하고,이를 저장·가공하여 조리하고, 이렇게 만들어진 음식을 언제 어디...
정원식 KDI 경제정보센터 전문연구원 2015.03.09 통권139호Q. 문화가 공공재인가요? A.‘문화=공공재’라고 단정할수는 없다. 문화와 관련된 상품·서비스는 각각 사적 재화로서의 성격, 공공재로서의 성격을 띠거나 두 가지 성격...
한동익 KDI 경제정보센터 연구원 2015.03.09 통권139호제12회 전국 고교생 경제한마당 시상식에서 수상자와 시상자가 기념 촬영을 하였다. 사진 왼쪽 세번째부터 김상규 한국경제교육학회장, 이지순 한국경제학회장, 김주훈 K...
취재·정리 KDI 경제정보센터 안선경·박진채 2015.03.09 통권139호대학에 진학하면 학생이 듣고 싶은 과목을 직접 선택해 수강신청을 한다. 뿐만 아니라, 다른 학교에서 열리는 좋은 수업도 학점교류를 통해 수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취재·정리 KDI 경제정보센터 차성훈·류진주 사진 한라애드플러스 정윤혜 2015.03.09 통권139호과테말라라는 개발도상국에서 청소년기를 보낸 것은 나의 인생에서 가장 특별한 일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민을 가기 전까지는 ‘외국’이나 ‘국제 이슈’에 크게 관심이 ...
박혜연 한국외대 정치외교학과 4학년 2015.03.09 통권139호국제 신용평가회사인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는 지난 1월 26일 러시아의 국가신용등급을 ‘BBB-’에서 투자 부적격 등급인 ‘BB+’로 한 단계 낮췄다. 러시아의...
강현철 한국경제신문 연구위원 2015.03.09 통권139호2014년 11월은 우리나라의 자유무역협정(FTA) 정책에 있어 큰 의미를 지니는 날이다. 바로 우리나라 제1위의 교역상대국이자 전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경제규모...
김영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지역무역협정팀장 2015.03.09 통권139호한 개인이 소비자, 근로자 혹은 여타 주체로서 선택, 결정, 행동을 하는 배경에는 그 사람의 가치관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0년 기준 한국의 ...
이은복 LG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 2015.03.09 통권139호「강순원의 대안학교 기행」 강순원 지음 앨빈 토플러(Alvin Toffler)는 한국교육을 바꾸라고 쓴소리를 했다. 공장과 같은 학교는 필요 없으니 미래의 아이들을 ...
강순원 한신대학교 심리아동학부 교수 2015.03.09 통권139호아마르티아 센(Amartya Kumar Sen) 1933년 인도 산티니케탄 출생 ●학력 1988년 인도 콜카다대 졸업 1959년 캠브리지대 경제학 박사 ●경력 20...
KDI 경제정보센터 2015.03.09 통권139호문화체육관광부에서 발표한 「2014년 콘텐츠산업 통계조사」에 따르면, 2013년 기준으로 콘텐츠산업 내에는 10만 8천 여 개의 사업체가 운영되고 있으며, 이들 사업...
한동익 KDI 경제정보센터 연구원 2015.03.09 통권139호■ 학습 개요 ●관련 단원: 중학교 사회 1단원 경제생활의 이해, 02 합리적 선택, 고등학교 경제 1단원 경제생활과 합리적 선택, 02 기회비용과 합리적 선택 ●...
박찬정 분당샛별중학교 교사(체험경제교육교사연구회 소속) 2015.03.10 통권139호듣기만 한 것은 잊어버리고, 본 것은 기억하며, 해 본 것은 이해할 수 있다. 지식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데 학교 수업시간과 모든 인간에게 공평하게 주어진 24시간...
이명구 광신중학교 기술교사 2015.04.07 통권139호COPYRIGHT ⓒ 2019 KOREA DEVELOPMENT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