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클릭경제교육(종간)
비교우위에 근거한 특화로 무역이 발생한다는 것이 이해되지 않습니다.

Q. 아래 표에서 비교우위를 생산비용으로 계산해보면, 을국은 90원에 신발을 특화하게 되고, 갑국은 100원에 의류를 특화하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갑국은 무역을 하기 전보다 20원의 생산비 절감효과를 볼 수 있지만, 을국의 경우 생산비가 10원 증가합니다. 이럴 경우 “무역은 발생하지 않는다”라고 결론지어야 하는 것입니까?

 

A. 무역이 이득이 되는 이유는 각국이 기회비용보다 낮은 국제상대가격으로 상품을 구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갑국의 신발 1단위 생산의 기회비용은 의류 1.2단위이고, 을국의 신발 1단위 생산의 기회비용은 의류 1.125단위입니다. 신발 생산에 있어서는 을국의 기회비용이 더 작으므로 을국은 신발 생산에 특화하고, 의류 생산에 있어서는 그 반대가 되므로 갑국은 의류 생산에 특화하게 됩니다. 질문자님께서는 갑국의 경우 의류 1단위 생산비용이 신발 1단위 생산비용보다 20원 작기 때문에 생산비 절감효과가 나타나고, 을국의 경우 신발 1단위 생산비용이 의류 1단위 생산비용보다 10원 더 많기 때문에 생산비 증가효과가 나타난다고 생각하고 계십니다. 그러나 무역이 이득이 되는 이유는 각국이 기회비용보다 낮은 상대가격으로 상품을 구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신발 1단위의 국제상대가격은 의류 1.125단위와 의류 1.2단위 사이에서 결정되는데, 갑국은 자국의 기회비용 의류 1.2단위보다 낮은 가격으로 신발을 수입할 수 있습니다. 의류의 경우 국제상대가격은 신발 0.83단위와 신발 0.89단위 사이에서 결정되는데, 을국은 자국의 기회비용 신발 0.89단위보다 낮은 가격으로 의류를 수입할 수 있습니다. 양국은 이렇게 비교우위에 있는 상품을 수출하고, 비교열위에 있는 상품을 수입함으로써 교역 전보다 더 많은 재화를 소비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 관련 단원

· 고 사회 Ⅷ-3. 세계 시장의 경제경쟁과 협력

· 고 경제 Ⅴ-1. 국제 거래와 경쟁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