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클릭경제교육(종간)
미래 유망직업을 찾아서!
한상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선임연구위원 2014.04.29


직업세계는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변화 속도는 유사 이래 가장 빠르다. 이러한 변화의 방향을 이해하고 자신의 진로를 선택하는 것은 중요하다. 특히 5년 내지 10년 후 미래 직업세계의 변화를 예측한다면, 청소년들이 장래 자신의 직업을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여기서는 직업선택 시 고려할 사항은 무엇인지, 그리고 10년 후 미래 유망직업은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려고 한다.


| 발전가능성을 보고 직업을 선택한다

요즈음 아이들은 직업을 선택할 때 돈을 가장 중시한다. 물론 아이들만의 문제는 아니다. 통계청에서 조사한 우리나라 국민들의 직업선택에 관한 조사 결과도 이와 비슷하다. 우리나라 국민들은 직업의 안정성과 더불어 수입을 직업선택의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의 생각은 다르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직업전문가, 고용전문가, 취업전문가 등의 의견을 수렴한 결과에 따르면 직업선택 시 가장 중요시해야 할 요소로 발전가능성을 꼽았다. 발전가능성이란 해당 직업에 진입할 때 얼마나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는가, 그리고 승진이나 직장이동시 얼마나 유리한가를 이르는 말이다. 다시 말해서 전문가들은 보수나 고용안정성보다도 발전가능성을 가장 중요시해야 할 요소로 보고 있다.

이처럼 발전가능성이 지닌 의미를 이해하면 유망직업의 개념도 다시금 생각해 볼 수 있다. 유망직업은 학술적으로 정립된 개념은 아니나, 국책연구기관의 보고서나 언론사의 기사에서 자주 언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유망직업은 장래에 일자리가 많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업, 그리고 다른 직업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수입이 좋은 직업을 말한다. 그러나 필자는 앞서 논의한 발전가능성이라는 요소에 주목하면서 유망직업을 수입과 일자리뿐만 아니라 발전가능성이라는 측면에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특히 앞날을 길게 바라보아야 하는 청소년들은 발전가능성을 유망직업의 중요한 요소로 인식해야 한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하면 유망직업은 미래형 개념이며, ① 발전가능성 ② 일자리 증가 ③ 보수 등을 고려하여 선별될 수 있다.


| 직업지표를 참고하자

유망직업의 개념에서도 논의된 바와 같이 직업선택 시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국민들이 참고할 수 있는 직업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개념이 ‘직업지표’이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는 400여 개 세분류 수준의 직업을 대상으로 2년 단위로 직업을 측정하여 한국의 직업지표를 발표하고 있다. 직업지표는 개별 직업별로 직업에 관한 평가를 수치화한 것인데, 임금과 일자리와 같은 직업에 관한 양적 측면뿐만 아니라 발전가능성이나 직업전문성과 같은 질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수치화한 정보이다.

전문가들의 의견조사와 자문을 종합하여 한국의 직업지표를 구성하는 요소는 보상, 일자리수요, 고용안정, 발전가능성, 근무여건, 직업전문성, 고용평등 등 7개이다. 직업지표는 현재 시점과 10년 후 시점에서 각각 조사되는데 본고에서는 10년 후 시점을 중심으로 그 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 미래 유망직업은?

한국의 직업지표 조사결과를 중심으로 미래 유망직업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본고(本稿)의 미래 유망직업은 10년 후 시점의 직업지표 조사 결과 가운데 발전가능성, 수입, 일자리 증가 등을 종합하여 선별되었다.

첫째, 컴퓨터 관련 직업이다. 최근 스마트폰과 소형 태블릿 기기 등이 급속히 발전하고 있으며 향후 눈, 손목 등 몸으로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wearable) 컴퓨터’의 확산이 예고되고 있다. 컴퓨터 관련 직업으로는 컴퓨터 및 모바일 게임 프로그래머, 컴퓨터시스템 감리기술자, IT 컨설턴트, 데이터베이스 설계, 구축 및 관리 기술자, 네트워크시스템 분석가 및 개발자, 컴퓨터 시스템 설계 및 분석가 등이 포함된다.

둘째, 전기 · 전자 관련 직업이다. 전기와 전자 기술이 없는 산업과 생활은 상상할 수 없다. 모든 공장과 기업은 전기와 전자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10년 후에도 크게 변화하지 않을 것이다. 유망직업으로 볼 수 있는 직업으로는 자동화전기설비설계 기술자 및 연구원, 발전설비기술자, 전기공사기술자, 전기 기기 및 제품 개발기술자, 전기안전관리기술자, 전자제어계측기술자, 전자의료기기 개발기술자 등이 있다.

셋째, 기계 · 재료 · 화학 관련 직업이다. 기계산업, 재료산업, 화학산업은 현대 사회의 기반을 뒷받침하고 있다.이 분야의 유망직업으로는 플랜트공학기술자, 기계공학기술자, 조선(선박), 항공기 및 철도차량 공학기술자, 철도 기관차 및 전동차 정비원, 금속공학기술자 및 연구원, 재료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석유화학 기술자 및 연구원, 금속 및 재료 공학시험원 등이 포함된다.

넷째, 문화콘텐츠 관련 직업이다. 사람들은 생활의 여유가 생기면서 문화콘텐츠를 향유하며 삶을 즐기려 한다. 디자인 분야를 포함한 이 분야의 유망직업으로는 디스플레이어 디자이너, 웹 · 멀티미디어 디자이너, 제품 디자이너, 시각 디자이너, 음향 및 녹음기사, 작가 및 관련 전문가, 문화, 예술 디자인 및 영상관련 관리자, 큐레이터 및 문화재보조원 등이 있다.

다섯째, 금융 · 경영 관련 직업이다. 자금의 흐름을 관장하는 금융, 그리고 기업과 조직의 운영을 책임지는 경영은 중요한 영역이다. 금융 및 경영 관련 유망직업으로는 자산운용가, 투자 및 신용분석가, 증권 및 외환딜러, 보험 및 금융상품 개발자, 손해사정인, 보험심사원 및 보험사무원, 경영지도 및 진단 전문가, 인사 및 노사 관련 전문가 등이 포함된다.


한상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선임연구위원
hansang@krivet.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