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클릭경제교육(종간)
기업가정신을 실현한 국 · 내외 인물들
이영달 동국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Entrepreneurship MBA 주임교수 2014.07.01

이미 미국에서는 시작된 지 오래되었고, 2011년을 기준으로 EU 국가들에서도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 교육이 초등학교 과정에서부터 정규교육에 반영되고 있다. 본 교육이 도입된 배경은 사람들이 기업가정신을삶의 기술(life skills)’로 이해하고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
기업가정신, 어떻게 해석할까
?

기업가정신은생산적 요소의 새로운 조합을 발견하고 촉진하는 창조적 파괴의 과정으로 1934년 슘페터(Schumpeter)에 의해 개념이 정의된 이래 다양한 관점에서 정의와 해석이 뒤를 따랐다
.

기업가정신의 정의와 해석에서 공통적으로 강조되는 내용들은 1) 자기주도형 삶의 자세, 2) 기회의 발견과 포착, 3) 불확실성의 존재와 한정된 자원 기반의 혁신적 도전, 4) 위험의 체계적 관리, 5) 창업과 사업화 역량, 6) 조직과 기업의 경영역량, 7) 공유가치 창출(CSV: Creating Shared Values) 등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더 압축해 보면, 기업가들(entrepreneurs)에게는 창조적 혁신성을 기초로 한 발명가적 자질과 체계적 전문성을 가진 관리자적 자질 모두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


|
스티브 잡스, 기업가정신의 표상


21
세기 초기업가정신을 실현한 세계적 인물은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애플의 창업자인 스티브 잡스(Steve Jobs)를 가장 쉽게 떠올릴 수 있을 것이다.

그는 입양되어, 대학교육을 받지 못한 양부모의 보살핌 가운데 성장하였다. 그리고 대학을 중퇴하고 인도로 여행을 하는 등 끊임없이나는 누구인가?’, ‘나는 어떻게 살 것인가?’ 등의 질문을 던지며 삶을 일반적으로 형성된 질서 가운데 묶어 두기보다 스스로의 세계관을 가지고 살아가고자 하는 자기 주도적 삶의 자세를 견지하고 있었다
.

또한 그에게는개인용 컴퓨터 시장을 개척하고, 그리고 마감하였다.’라는 표현이 적용될 정도로 남들이 보지 못한 새로운 가능성과 기회를 포착할 수 있는 인지구조가 있었다
.

그러나 그가 포착한 개인용 컴퓨터 시대의 도래를 선도하기 위해 그가 조달할 수 있는 자원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기존의 방식으로는 개인용 컴퓨터를 개발할 수 없었다. 그래서 그는 집의 창고에서 스티브 워즈니악이라는 걸출한 엔지니어와 함께 기존 방식이 아닌 새로운 방식으로 개인용 컴퓨터를 개발하였다
.

그는 매사에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사항들을 미리 점검해 보고 대비하는 위험관리 방식과 과정을 갖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여러 특허전쟁을 치룰 수 있었다. 애플을 창업했고, 한때 그 회사에서 쫓겨나 픽사(Pixar)라는 회사를 인수하여 새로운 도약의 기반을 만들고, 다시 애플로 복귀하여 현재의 모습까지 성장시켜 왔다. 현재 애플은 상당한 규모의 은행보다도 더 많은 현금을 가진 기업이다
.

스티브 잡스는 사망하기 전 아이패드와 컴퓨터 기자재 그리고 여러 콘텐츠를 제공하여 미국 공교육이 보다 창의적이고 혁신적으로 변혁하기 위한 지원활동에 상당한 기여를 하였다
.

스티브 잡스의 사례를 살펴보면 위에서 언급한 기업가정신에서 강조되는 7가지 항목들이 모두 발견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 정주영 회장, 한국 기업가정신 실현의 대표 사례


한국을 대표하는 기업가정신 실현 사례는 현대그룹 창업자인 故정주영 회장이라 할 수 있겠다. 그 역시 강원도 통천에서 무엇인가 제한된 삶을 벗어나고자가출을 하여, ‘맨손으로 오늘날의 현대그룹을 일구었다. 또한 그의 뜻을 받은아산나눔재단은 현재 청년기업가를 육성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 등 사회기여 활동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다.


|
기업가정신, 특정영역만을 대상으로 하지 않아


빌 게이츠(마이크로소프트), 마이클 델(델컴퓨터), 리처드 브랜슨(버진그룹), 마크 저커버그(페이스북), 이병철(삼성그룹) 회장 등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경우만 기업가정신을 발현한 사례가 되는 것은 아니다.

미국과 유럽에서 기업가정신을삶의 기술 또는 생존 기술로 개념화하는 것은우리 모두가 삶을 기업가적(entrepreneurial)으로 살아야 함을 의미한다. 학교에서 학생들을 지도하는 선생님들이 한정된 자원과 불확실성 가운데 혁신적인 교육방법을 찾기 위해 도전하고 그것을 체계화하여 여러 선생님 또는 학교들과 공유하며 나눈다면 이 선생님은 바로 기업가적 교사(entrepreneurial teacher)가 되는 것이다. 작곡가인데 자신이 작곡한 곡을 제대로 이해하고 소화할 수 있는 가수를 섭외하여 노래를 만들어 앱스토어를 통해 보급한다면 이 역시 기업가적 음악인(entrepreneurial musician)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가수싸이또한 기업가적 음악인의 좋은 예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


|
우리 모두가 기업가이다


기업가정신은 멀리 있지 않다. 또 경영학 전공자들만 가지는 특정영역을 대상으로 하지도 않는다. 사회적 기업가정신, 공공 기업가정신, 농업 기업가정신 등 우리의 경제와 사회 모든 영역에서 새로운 가치 창출의 기회를 발견하고, 창조적 혁신의 과정을 통해 이를 실행하는 일련의 모든 활동이 기업가정신을 발현하는 경우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그렇기에 일부 선진국들은 사회주의(socialism)와 자본주의(capitalism)간 구조적 대척관계에 얽매이기보다는기업가 정신주의(entrepreneurialism)’를 지향하는 새로운 국가사회로의 변혁을 전개하고 있는 것이다
.

이영달
동국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Entrepreneurship MBA 주임교수
Dr_Lee2033@dongguk.ed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