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버트 솔로는 케인스 학파를 대표하는 학자로 자본이론과 성장이론을 정립한 거시경제학계의 태두로 꼽힌다. 그는 1956년 국민경제의 지속적인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여러 요인들의 상대적인 기여도를 보여주는 경제성장 모형을 발표하였다. 경제성장 모형이란 경제성장의 과정을 단순화시켜 나타내는 이론적 모형을 말한다.
그는 전통적인 경제이론가들의 사고와는 반대로, 지속적인 성장을 달성하는 데는 자본 축적이나 노동력의 증가보다 기술 진보가 더 중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새로운 기계의 발명이나 노동 숙련도 증진과 같은 질적 향상을 통해 효율성과 생산성을 제고하는 것이 단순히 기계나 공장의 수를 늘리는 양적인 투자에 비해 훨씬 중요하다고 보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1960년대부터 각국 정부로 하여금 경제성장을 촉진시키기 위해 기술적인 연구개발에 보다 많은 투자와 노력을 기울이도록 설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로버트 솔로
(1924. 8. 23~ )
●
학력
1947년 하버드대 졸업
1951년 하버드대 경제학 박사
●
경력
1950~현재 MIT 경제학과 교수
1961~1962년 미국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 수석 이코노미스트
●
수상
1961년 존 베이츠 클라크 메달1)
1987년 노벨 경제학상
1999년 미국 국가과학상
2014년 미국 자유훈장2)
1) 존 베이츠 클라크 메달(John Bates Clark Medal)
신고전파 경제학자 존 베이츠 클라크(1847~1938)를 기려 미국경제학회(AEA)가 매년 경제학 발전에 기여한 40세 이하의 경제학자에게 주는 상이다. 폴 크루그먼, 제임스 토빈, 로렌스 서머스 등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들의 3분의 1이 젊은 시절 이 상을 받아 ‘예비 노벨경제학상’이라 불린다.
2) 미국 자유훈장(Presidential Medal of Freedom)
미국의 안보나 국가의 이익, 세계평화, 문화, 또는 기타 중요한 대중적·개인적 노력으로 특별한 공적을 쌓은 개인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수상자는 1957년 설립된 자문 그룹인 영예시민 심사위원회의 자문을 받아 미국 대통령이 선정한다.
●
저서
『선형계획과 경제분석(Linear Programming and Economic Analysis)』, 1958
『자본 이론과 수익률(Capital Theory and the Rate of Return)』, 1963
『성장 이론: 한 가지 설명(Growth Theory: An Exposition)』, 19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