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클릭경제교육(종간)
질문있어요(9)
박수정 KDI 경제정보센터 연구원 2015.08.31

Q. 왜 자원개발을 해야 하나요?


A. 전 세계 석유자원량의 3분의 2가 중동 지역에, 천연가스 매장량의 70% 이상이 중동과 러시아에 집중돼 있습니다. 이처럼 전통적인 에너지자원이 지역적으로 편중되어 있는 상태에서 신흥 경제국의 경제 성장으로 에너지 소비량이 급격히 증가하자, 상당기간 안정세를 보이던 국제 에너지 시장의 수급구조가 불안해져 가격이 급등하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이에 따라 자원보유국은 자원통제와 국유화를 강화하고, 자원소비국은 자원의 안정적 확보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해외자원 개발은 에너지자원 수급 위기가 발생했을 때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안정적인 에너지자원 공급체계 구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IEA(국제에너지기구, International Energy Agency)에 따르면, 글로벌 경기침체, 중국경제 향방, 셰일가스의 등장 등으로 인한 가격변동 요소가 있지만, 구조적인 이유로 인해 2035년도 국제유가는 배럴당 145달러로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지난 1·2차 오일쇼크처럼 단기간에 원유 가격이 급격히 상승하여 국내 경제에 예측하지 못한 과대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자원을 확보해 놓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경제 위기 극복의 주요 수단이 됩니다.
 

해외자원 개발은 국가 위기 극복을 위한 안전장치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경제성장을 이끄는 동력의 기능을 가지고 있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평가됩니다. 조선·플랜트 등 연관 산업의 동반성장과 기업 수익 증대가 인력 수요 증가로 이어져 일자리가 창출되는 경제 파급 효과가 있습니다.
 

부존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는 매우 취약한 에너지 안보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경제의 생존과 발전에 안정적인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해외자원 개발과 에너지 관련 기술개발을 통해 산업을 육성하는 방식으로 대비하고 있습니다.



Q. 셰일가스(shale gas)에 주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 중동·러시아에 집중되어 있는 천연가스와 달리 셰일가스는 전 세계에 고르게 분포해 있어 에너지시장의 판도 변화를 주도하는 에너지원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IEA 발표에 의하면, 현재까지 확인된 셰일가스의 가채(可採)매장량은 1,500억 톤(LNG 환산기준)으로, 전 세계가 60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규모입니다.
 

셰일가스를 채굴하는 과정에서 화학물질이 지하수나 식수로 사용하는 지표수에 유입되어 수질을 오염시키거나 토지를 훼손하는 등 추가로 환경오염을 발생시킬 수 있는 우려가 지속되는 가운데, 셰일가스로 발전할 경우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석탄의 절반 수준(55%), 석유의 3분의 2 수준(70%)에 불과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대안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셰일가스가 주목받는 또 다른 이유는 셰일가스 생산 시, 동반 생산되는 셰일오일과 석탄층 메탄가스가 석유·가스를 대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뿐만 아니라, 셰일가스 공급이 증가하면 천연가스 가격을 하락시키는 데 기여하고, 주요 에너지 수요국 내에서 셰일가스의 자체 공급이 가능해져 에너지자원의 무기화를 부분적으로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가채매장량(Recoverable Reserves)

매장량 추정 시점 이후 기술적·경제적으로 회수 가능한 탄화수소의 총량으로, 발견된 가스전의 확인 매장량, 추정 매장량, 예상 매장량과 아직 발견하지 못한 탄화수소를 포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