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클릭경제교육(종간)
수업에 활용해보자: 인터뷰 글쓰기-삶의 현장에서 찾은 노동의 가치
이은주 서울 화원중학교 교사 2015.09.24

우리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상호 의존적 존재라는 것을 알게 하는 것은 사회과의 중요한 목표이다. 이런 깨달음이 있어야 주변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를 개인 차원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폭넓게 바라보고, 문제 해결을 위해 함께 노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인터뷰 글쓰기는 나와는 다른 타인의 삶에 관심을 가지고 깊이 있게 바라보게 해주는 활동이다. 사회적 존재로서 자신을 알게 하고 사회 문제를 나의 시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활동으로 여러 단원에서 활용할 만하다. 경제 단원에서도 ‘인터뷰 글쓰기’ 활동으로 노동 수업을 진행해 보았다. 이 활동으로 아이들이 적성에 맞는 직업을 찾아 노동력을 제공하면서 성취감을 느끼고 행복한 삶을 살아가길 바란다.


‘우리는 무슨 일을 하며, 어떤 노동을 하면서 우리 삶을 만들어가야 할까?’ 경제 수업을 하면서 꼭 던져야 할 질문이다. 그러나 학생들이 경제 단원에서 일이나 노동에 대해서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은 많지 않다. 교과서 속의 노동은 생산 활동을 위해 필요한 것이고, 노동자는 임금을 받고 노동을 제공하는 사람으로 그려질 뿐이다. 노동에 대하여 함께 공부하고 나눌 내용은 명확하다. 우리는 노동으로 생활해 나간다는 것, 우리는 서로의 노동에 기대어 살고 연결되어 있다는 것, 우리는 대부분 노동자가 될 것이라는 것, 노동하는 존재로서 우리를 인식하는 것이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학생들은 필히 알아 둘 필요가 있다. 또한 노동자로 당당하게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힘은 무엇인지, 제도적으로 마련되어야 것은 무엇인지 생각할 수 있어야 한다. 주변에서 찾을 수 있는 노동의 모습을 ‘인터뷰 글쓰기’ 활동을 통해 학습하고, 다양한 노동의 모습에서 당당한 노동자로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 생각해 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1. 노동의 의미 수업하기
노동은 고단하고 힘들지만 생활은 노동의 연속이며 눈에 보이지 않는 많은 노동이 우리를 살게 해주며 우리는 서로의 노동에 기대어 살고 있다는 것을 알게 하는 것을 목표로 자료를 준비하였다.


2. 인터뷰 글쓰기 안내
학생들에게 내 주위에 있는 노동의 현장을 찾아 인터뷰하여 글을 쓰게 하는 활동을 안내한다. 인터뷰에 자신이 없는 학생들을 위해서 모둠(2~5명)을 만들어 진행할 수 있지만 글쓰기는 각자 작성하여 제출한다고 설명하였다.



3. 인터뷰 발표하기
모둠을 만들어 인터뷰를 했고 모둠별로 한 개의 인터뷰 글을 선택하여 발표하기 때문에 발표 시간은 한 시간이면 충분하였다. 발표는 ‘라디오 방송처럼’ 하면 된다고 설명하고 발표할 때 사용할 배경음악도 준비해오라고 하였다. 일과 노동의 현장 발표 예시로 ‘교사의 생활’에 대한 자료를 만들어 발표하였다.



4. 당당한 노동자의 조건 찾아보기
학생들에게 ‘행복한 청소부(도서 자료)’와 ‘지식채널e(영상자료)’에서 그린 청소노동자의 모습을 비교하면서 당당하고 행복한 노동자가 되기 위해 마련되어야 할 사회적 조건을 찾아보게 하였다. ‘인터뷰 글’의 노동에서 사회 문제를 찾아 해결책을 제시하게 했다. 발표가 모두 끝나고 ‘나는 무슨 일하며 살아야 할까’ 등의 질문은 나의 꿈과 일을 찾기 전까지 계속 자신에게 던져야 한다는 것, 어떤 것이든 일이 될 수 있으므로 일에 대한 가능성을 항상 열어두어야 한다는 것, 우리의 삶을 일로 채워나가며 행복을 만들 수 있어야 한다는 것으로 노동 수업을 마무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