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클릭경제교육(종간)
국내외 경제교육: 미국 고등학교 경제교육에 관한 연구 결과Ⅱ
김진영 KDI 경제정보센터 전문위원 2015.10.30

지난 호에 이어 왈스타드(William B. Walstad)와 와츠(Michael W. Watts) 교수의 미국 고등학교 경제교육에 관한 연구 결과1)를 계속 논하고자 한다.


교사가 경제지식을 넓힐 수 있는 방법은 대학에서 경제과목을 수강하거나 연수를 받는 것이다. 문제는 장래에 교사가 될 가능성이 있는 대학생들의 경제과목 수강비율이 높지 않다는 점이다. 미국의 중학교 교사가 될 가능성이 있는 대학생의 32%가, 초등학교 교사의 경우 53%가 경제학을 수강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초등학교 교사의 경우 경제과목 수강 학점은 2.1단위에 불과하였다. 왈스타드와 와츠 교수는 대학에서 약 18학점(6개 과목)의 경제학 과목을 이수하면 교사들이 중·고등학교에서 경제를 가르치는 데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고 했다. 그런데 경제이해력은 수강 과목이 많다고 계속 증가하는 것은 아니다. 논문에 따르면, 수강 과목이 19학점 이상이면 추가 과목을 수강해도 경제이해력 향상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교사가 된 이후에는 연수와 워크숍(Workshop)을 통해 경제지식을 쌓을 수 있다. 워크숍의 경우 경제학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교육방법론을 제공하기도 한다. 논문에서는 3개 이상의 워크숍에 참석한 교사의 수업을 들은 학생들의 경제성적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연수나 워크숍 수강이 학생들의 경제이해력을 향상시킨다고 할 수 있다.


수업 현장에 쓰이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매체에 대한 교육효과도 고려해볼 수 있다. 경제 수업에서 비디오, 컴퓨터 게임 등의 매체가 활용될 수 있다. 논문은 각 멀티미디어 매체의 교육효과가 큰 차이가 없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강의 방법에 따른 학생들의 성과지표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물론 교재의 효과에 대한 연구방법이 제한적이고, 수업에서는 다양한 교육방법이 혼재되어 적용되므로 결과를 조심스럽게 해석해야 할 것이다.


미국 경제교과서는 미국경제교육협의회(Council for Economic Education, CEE)의 국가표준에 근거하고 있어 교과서 간 차별성은 그다지 크지 않다. 그러나 다른 사회과 교과에서 다루는 경제학 내용은 문제점이 있어 보인다. 역사·지리·사회학 등의 고등학교 교과에서는 경제 관련 문제에 대해 경제적 개념을 적용하고 분석하는 점이 미흡하다. 또한 경제적 아이디어가 부적절하게 적용되는 경우도 있다. 이들 교과서는 시장 기능에 대한 부정적 관점, 경제성장의 부정적 이미지를
강조하기도 했다.


이상의 미국 고등학교 경제교육에 대한 분석이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은 무엇일까? 첫째, 미국은 학생들이 경제과목을 얼마나·어떻게 수강하는지에 대해 비교적 자세한 통계자료가 있다. 반면 우리나라는 2012년 이후 고등학생의 경제과목 수강 비율 등에 대해 자세한 정보를 구하기 어렵다. 이는 우리의 경제교육에 대한 객관적 분석을 어렵게 한다.


둘째, 연수와 워크숍으로 교사의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교육적 효과가 있다. 미국의 교사들은 대학에서 경제학 과목 수강 비율이 높은 편은 아니지만 다양한 방법으로 자신의 경제학 실력을 다지고 있다. 우리나라 교사들은 주로 연수를 통해 경제수업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워크숍도 효과적인 프로그램이 될 수 있으며, 대학에서 학점을 이수하는 것도 고려해볼 만하다.


셋째, 미국은 교재, 수업에서의 매체 활용, 수업방법에 따른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는 데 반해 국내에서는 이와 관련된 연구가 크게 부족하다. 앞서 분석에서는 매체활용과 수업방법론에 따라 교육적 효과가 있는지 명확하게 결론 내릴 수는 없지만, 우리도 수업방법론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과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1) William B. Walstad & Michael Watts,『Perspectives on Economics in the School Curriculum: Coursework, Contents, and Research』, Journal of Economic Education,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