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백문백답 화면 프린트 실행 2008년 서브프라임 금융위기 이후 2015.11.20 2008년 서브프라임 금융위기 이후 이동현 2015.11.20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가 보통 신자유주의의 위기라고 불리는데, 최근 들어 케인즈의 이론이 다시 힘을 받고 있는 근거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요? 2008년의 상황의 경우 케인즈의 주장대로 정부가 시장에 개입했더라면 규제 강화 이외에도 어떤 정책들을 펼칠 수 있었을까요?또는 케인즈의 정부 개입을 현재 주장하고자 한다면, 현대 경제에 적용시켜 어떤 근거를 펼칠 수 있나요? Re: 2008년 서브프라임 금융위기 이후 경제정보센터2015.12.03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가 신자유주의의 위기라는 점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합니다.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시카고대의 로버트 루카스 교수(Robert Lucas)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경제학 위기에 대해 반박하는 기고를 했습니다.http://www.economist.com/node/14165405 역시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케인스학파의 대표적인 경제학자인 뉴욕시립대학교의 폴 크루그먼(Paul Krugman) 교수는 이에 대해 다시 비판하기도 했습니다.http://www.nytimes.com/2009/09/06/magazine/06Economic-t.html 따라서 이에 대해 어느 것이 옳다고 명확하게 답변하기가 어렵습니다.kcharmer@kdi.re.kr 목록보기 인포그래픽 경제e정표와 함께하는 금융건전성 인포그래픽 경제e정표로 함께하는 외국인력 정책과 이슈 인포그래픽 [나라경제 이슈] 중국을 제외한 글로벌 배터리시장 공급 부족 계속될 전망 많이 본 자료 경제교육 전체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기업의 노력, ESG경영 브렉시트, 그 후 영국은? 기준 금리와 환율, 꼬리에 꼬리를 무는 이야기 한국 방위 산업, 어느 수준에 와 있을까? 인간의 심리를 탐구하는 행동경제학 알아 두면 쓸모 있는 재미난 인구 이야기 보이지 않는 장벽, 보호무역 재무제표로 본 「한국기업 건강도」분석 달러에 투자하는 4가지 방법 「2024년도 예산안」 및 「2023~2027 국가재정운용계획」 발표 카탈린 카리코 박사(mRNA 백신 개발자)를 키워낸 나라, 기초과학 강국 헝가리와 과학기술 협력 모색 지금 우리 가족은? 2023년 9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및 경제심리지수(ESI) 예금 vs 적금, 재테크 초보에게 어떤 저축이 유리할까? 빅데이터 분석/정책이해 제5차 고용정책 기본계획 나라경제/세계는 지금 교육의 개별화 지향하며 형평성·포용성 높이는 AI 활용 나라경제/특집 은행 자금운용 구조와 경영환경 개선…은행권 경쟁촉진 e경제정보리뷰챗GPT - 원리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