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샘플이미지
미국 관세 조치에 대한 주요국 대응과 시사점

한국무역협회는 미국 관세 조치에 대한 주요국 대응과 시사점을 분석한 브리프를 발표하였다. 1. 트럼프 2기 행정부 주요 관세 조치 -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 무역적자 해소와 제조업 부흥을 목표로 광범위한 관세 조치 단행 - 백악관은 상호관세 행정명령에서 상대국의 대응에 따라 관세율 상향 또는 하향이 가능함을 명시 2. 주요국 대응 - 주요국은 미국의 관세 조치에 대해 ‘맞불(보복)’ 조치부터 ‘관세인하(협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대응 [중국: ①보복] 미국의 관세에 상응하는 수준의 보복 및 무역 제재를 시행하며 강경 대응 [EU: ①보복 및 ④협상 병행] 美 철강·알루미늄 232조 관세가 발효되자 즉시 보복관세(최대 25%) 부과를 발표한 것과 달리, 상호관세에 대해서는 상호무관세 등 적극적인 협상 의지 피력 [캐나다: ①보복 및 ⑤협조] 맞불 관세 조치를 발표하는 동시에 마약·이민 문제에 있어 미국과 협조하며 관세 면제·유예를 이끌어냄 [멕시코: ②유보] 미국의 관세 부과에 강경 대응 의사를 밝히되 시행은 일단 유보하여 협상 여지를 남김 [영국: ③신중] EU의 보복 조치에 동참하지 않고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는 가운데 미국과 대화 지속 [호주: ④협상] 보복 조치를 배제하고 미국과 지속 협상 방침 [일본: ④협상 및 ⑤협조] 미국과 지속적인 대화와 협력을 통해 관세 면제를 이끌어 낸다는 입장 [인도: ⑤협조] 미국산 에너지 수입 확대, 관세 인하, 디지털서비스세 폐지 추진 등 미국과 우호적인 관계 유지를 위한 노력 지속 [베트남: ⑤협조] 대미 무역 의존도가 높은 베트남은 관세 인하에 협조하는 동시에 미국의 상호관세 연기를 위해 미국산 수입품 관세 철폐 및 구매 확대를 약속 3. 시사점 -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조치를 선(先) 발표하고 후(後) 협상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보복 조치에 대해서는 재보복으로 대응 - 일부 관세 면제·연기에도 불구 보편관세 및 품목별 232조 관세 조치는 여전히 유효하며, 추가 관세 부과 가능성 속 미국의 구체적인 목표는 여전히 불명확 - 미국의 관세 조치뿐만 아니라 주요국의 보복관세 동향도 면밀히 파악하여 추가적인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유의 - 우리 기업은 정부 지원 사업을 활용하여 관세 충격에 따른 피해 최소화 필요

한국무역협회 2025.04.21

총 8,646 건

12345678910
12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