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경제연구소는 보고서를 통해 근로관의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고, 근로관에 대한 국제비교를 통해 한국인의 지배적인 근로관을 도출한 후 향후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목차>
I. 근로관의 중요성
- 근로관은 일에 대한 사람들의 의식구조와 태도
-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를 위해서도 근로관에 대한 연구가 필요
- 국가간, 세대간 근로간 비교를 통해 한국의 근로관을 명확히 이해할 필요
II. 근로관의 국제비교
1. 근로관의 유형화
2. 일의 보람
3. 관계의 만족
4. 기타
5. 한국의 세대별 근로관
III. 시사점
- '생계수단형' 근로관은 불안과 냉소의 산물
- '일의 보람'과 '관계의 만족' 제고가 시급
- 노동이동의 활성화와 직무중심의 고용시스템 정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