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책연구원이 『지역혁신형 규제샌드박스 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 스마트시티 규제샌드박스와 규제자유특구를 중심으로 -』를 발표하였다.
- 이 연구는 지역혁신형 규제샌드박스 제도의 관리적 측면에 초점을 두고 단계별 주요 쟁점을 파악하여, 향후 제도의 실효성 제고 및 정책적 보완을 위한 방안 제시하였음. 향후 규제샌드박스를 기술실증의 장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주변 국가와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운영체계를 설립한 운영 및 관리가 중요하기 때문에 일본과 중국를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였음.
- 제2장의 해외사례분석에서는 일본과 중국의 규제샌드박스 제도 관련 단계별 현황을 살펴보고, 구체적인 사례인 슈퍼시티(일본)과 슝안신구(중국)을 분석하였음. 첫째, 지역단위의 규제개혁] 일본은 지역단위 규제개혁인 국가전략특구 내 규제개혁 메뉴 중 하나로 운영(지역한정형 규제샌드박스)되고 있음. 둘째, 추진체계 확보를 통해 일본 슈퍼시티는 각 부처 간 사업예산을 일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공동심사회」를 추진하는 등 사업추진체계 마련하였음. 셋째, 지역주도 강화] 중국은 지방경제발전을 제약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종합개혁시험구’를 설립하고, 시험구를 설립하는 지방정부에 제도개혁에 대한 선행선식권 부여하였음. 넷째, 지방정부에 대한 제도 혁신권 부여] 중국 지방정부는 ‘시행착오권’을 부여받아 권한 내에서 결과에 대한 두려움 없이 제도개혁을 실시할 수 있도록 사회적 분위기 조성하였음.
- 제3장 스마트시티 규제 샌드박스의 주요 쟁점 및 문제원인 분석은 다음과 같다. 1단계쟁점은 운영방식의 전환으로 운영 및 관리 방식 전환으로 제도 운영상 혼선이 예상됨. 2단계 쟁점은 정부지원금의 복수혜택을 받고 있는 기업체에 대한 기준설정 미비 등 정부지원금의 관리 및 운영 체계가 미흡함. 3단계 쟁점은 정부 지원 제도에 참여함으로서 오히려 초기시장 진출 타이밍을 놓치는 등의 문제 발생하는 등 실증참여에 따른 제도적 유인구조가 미흡함. 4단계 쟁점은 법개정을 위한 준비 작업이 지연되고 있다. 5단계 쟁점은 지역혁신 생태계 구축 측면에서 역외 기업들의 실증 이후에 대한 지원체계 미비 등 실질적 효과 창출을 위한 사후지원체계가 부족함.
- 다음으로 규제자유특구의 주요 쟁점 및 문제원인 분석은 다음과 같음. 신청준비 단계는 준비단계에서 참여기관이 많기 때문에 담당자를 찾는데 어려움 등 애로사항이 발생하는 등 제도의 복잡성으로 혼선이 발생함. 1단계 쟁점은 부처별 중복적으로 지원하는 사업체에 대안 기준 설정이 미비하는 등 업무 및 관리체계의 효율적 운영체계가 미흡함. 2단계 쟁점은 신산업 및 서비스 분야의 실증지원을 위한 전문 인력이 부족하는 등 신산업관련 전문 인력이 부족함. 3단계 쟁점은 참여기업에 대한 출구관련 가이드라인 제공이 미흡한 상황이다. 4단계쟁점은 규제샌드박스형 안전성 검증에 대한 차별적인 제도 구축이 미흡함. 5단계 쟁점은 실증 이후 지역 내 혁신생태계 조성 등 지속적인 연계전략이 미비함.
- 마지막으로, 지역혁신형 규제샌드박스 제도의 향후 발전방향과 단계별 정책적 제언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음. [정책제언 1] 제도의 복잡성을 해결해 줄 수 있는 대안 제시가 필요함. [정책제언 2] 부처별 표준화를 통한 관리체계 고도화가 필요함. [정책제언 3] 심사과정의 합리성 유지를 위한 전문성이 강화되어야 함. [정책제언 4] 실증참여에 따른 제도적 유인구조가 제공되어야 함. [정책제언 5] 규제샌드박스형 안전성 검증체계 지원이 필요함. [정책제언 6] 본격적인 신기술 및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사후지원이 강화되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