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정보센터

ENG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국민연금의 문제점과 개혁방안
한국경제연구원
2022.07.27
한국경제연구원은 『국민연금의 문제점과 개혁방안』을 발표하였다.

- 이 연구는 국민연금이 직면하고 있는 장기 재정불안, 사각지대 및 적정보장(노인빈곤) 나아가 재분배 왜곡 등 다양한 난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존 제도의 기능과 역할을 재구조화하는 데 초점을 두는 구조적 개혁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진단과 함께 관련 개혁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음.

- 구조적 개혁안을 제안하게 된 배경은 현행 국민연금의 구조 자체가 애초부터 소득파악이 어려운 우리의 환경여건에 부합하지 않아 대규모 사각지대 및 재분배 왜곡 문제를 초래하고 있는 데다 이런 상황에서 보험료율 및 기초연금의 무절제한 인상 등 단순한 제도의 조정(모수 개혁)은 오히려 문제를 심화시킬 수 있기 때문임.

- 예를 들어, 보험료율의 인상은 큰 폭의 조정을 하지 않는 한 재정안정화 효과도 크게 없으면서 비정규직근로자 및 영세자영자 등의 사각지대 확대를 초래하여 가장 재분배 혜택을 받아야 할 저소득계층이 그로부터 배제되는 제도왜곡 현상이 심화될 우려가 있음.

- 이런 가운데 국민연금의 재분배 혜택을 크게 보는 정규직근로자 및 고소득자영자들에게 다시 유사한 재분배 기능을 가진 기초연금을 통해 재분배가 이중으로 집중되는 등 재분배 왜곡이 더욱 심화될 우려가 높음.

- 이것이 바로 당장 단순한 모수적 개혁보다 재분배 기능의 왜곡문제 해소에 초점을 둔 구조적 개혁이 우선되어야 하는 이유이며, 제도 왜곡을 야기하는 핵심 요인은 바로 국민연금에 부여되어 있는 부적절한 재분배 기능(균등부분)에 있음.

- 따라서 이를 분리한 다음 동일 기능의 기존 기초연금에 통합하여 새로운 기초연금으로 재구축하고 이것이 전적으로 재분배와 기초보장을 담당하고, 재분배기능을 덜어낸 기존 국민연금은 내는 만큼 받는 부가보장(저축기능)의 비례연금 역할만을 담당하는 식으로 기존 제도들의 기능과 역할을 재편할 필요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