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정보센터

ENG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직업계고 졸업생의 기업정착률 제고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22.09.05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은 「직업계고 졸업생의 기업정착률 제고방안」을 발표하였다.

- 범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일자리 창출 노력 결과 2017년 직업계고 취업률이 50%대로 상승하였으나 그 후로 지속 하락해 2021년에는 28.6%까지 떨어짐.

- 직업계고 졸업생 취업률 제고를 위해 교육부(2020)는 취업 활성화 방안을 수립해 직업교육을 혁신하고 현장실습 안전·권익 강화, 기업 혜택 확대, 취업지원 기능을 강화하고, 고졸 취업 활성화 지원사업을 역점적으로 추진해 직업계고 졸업생이 양질의 노동시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 이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4차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경제성장과 일자리의 지표가 비례하지 않고 있음.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의 이슈 브리프(2022, 236호)에 따르면 특히 직업계고 취업률이 경기지표와 낮은 상관성을 보이며 직업계고 졸업자가 양질의 일자리로 진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점차 줄어들고 있음.

- 아울러 기계화·자동화가 가속화될수록 기존 업무의 자동화 대체율 심화, 고학력 위주의 경력직 선호 현상 등의 직업계고 취업을 어렵게 하는 위협 요인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부기관, 기업, 직업계고, 대학 등이 협력과 공조를 강화해야 함

- 일자리 부족 현상과 병행하여 지역 간 교육격차와 함께 수도권·비수도권 일자리 불균형이 발생. 연구개발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SKY대학에 필적하는 거점 국립대에 대한 투자가 필요하듯이 생산 현장 인력의 양성과 역외유출 방지를 위해 직업계고에 대한 정책적 관심과 지원이 필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