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준비된 가벼운 청년 창업을 위하여
-
중소벤처기업연구원
2022.10.17
원문보기
중소벤처기업연구원은 「준비된 가벼운 청년 창업을 위하여」를 발표하였다.
- 본 보고서는 청년 창업 현황을 바탕으로 (예비) 청년 창업자의 실제 창업 및 성장을 돕기 위한 정책 방향을 수요자 관점에서 제시하고자 함
- 청년 창업은 시장 진입·퇴출이 쉬운 생계형에 편중되어 있으며, 금융 안정성과 서비스 접근성이 낮음
- 청년세대의 부족한 창업 준비 기간과 창업 교육 경험은 미흡한 경제적 성과로 귀결됨
- (준비된 창업 유도) 대학은 창업 인재 양성의 요람으로 창업 교육 역량 강화 필요
- (실패용인 문화조성) 나의 실패를 공유하고 남의 실패에서 배우는 문화, 실패를 비난하지 않는 문화, 실패해도 다시 일어날 수 있는 문화조성
- (창업경험 경력인정) 창업 리스크 축소를 위해 창업 경험을 경력으로 인정하는 사회적 분위기 조성이 필요
- (청년정책 간 연계) 청년 창업 정책은 다부처 청년 정책과 연계되어 상호 보완적으로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