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정보센터

ENG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생산가능인구 감소에 따른 서울경제 대응방향
서울연구원 2023.01.18
서울연구원은 「생산가능인구 감소에 따른 서울경제 대응방향」을 발표하였다.

- 본 보고서는 생산가능인구의 감소가 대도시인 서울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생산가능인구 감소가 미치는 영향과 생산성 변동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서울시 경제정책 수립에 활용하고자 함.

- 전국의 생산가능인구는 2016년부터 줄어들기 시작하였으며, 2020년 이후 감소세는 더욱 급격해질 전망이다. 생산가능인구의 감소는 경제적인 변화를 불러올 뿐만 아니라 성장률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어 분석을 통한 정책 대응이 요구되는 시점임.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 결과, 세계 생산가능인구 비중은 2015년 65.6%로 최고치를 기록한 후 2020년 65.2%까지 지속 감소하는 추세

- 생산가능인구의 감소 원인은 크게 경제위기의 발생과 사회의 전반적인 인구구조의 변화를 들 수 있음. 경제위기 발생으로 생산가능인구가 줄어든 사례는 일본의 1991년 부동산버블 붕괴와 2010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대표적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