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지역 금융포용(financial inclusion)의 특징 및 평가
-
한국은행
2023.01.25
원문보기
한국은행은 「강원지역 금융포용(financial inclusion)의 특징 및 평가」를 발표하였다.
- 본 보고서는 강원도 금융포용지수를 측정하고 여타 지역과 비교·분석 등 특징을 파악함으로써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 2021년 기준 강원도의 금융포용지수는 0.246으로 전국(0.316) 및 도 지역(0.269) 평균을 모두 하회. 2021년 기준 강원도 금융포용지수는 비수도권 도 지역(8개) 중 세 번째로 낮게 나타나 금융접근성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평가
- 최근 10년간(2011~2021년) 강원도의 금융포용지수는 하락세가 지속 되는 가운데 하락률도 확대. 이러한 움직임은 금융기관 여수신 지수 하락세에 크게 기인
- 강원도 취약가계 여신지수는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반면 취약기업 여신지수는 최하위를 기록하는 등 양 지수 간 격차가 가장 큼. 2021년 기준 거점도시, 영동해안 및 폐광지역의 금융포용지수가 높은 반면 접경지역 및 영서내륙은 낮아 지역간 격차가 큰 편
- 국내 시도별 금융포용지수 분석 결과 강원지역의 경우 금융접근성이 취약하고 금융포용지수 하락세가 계속되는 가운데 도내 취약차주간·지역간 격차도 큰 것으로 분석
- (정책1: 실물·금융간 선순환 구조 확충) 지역경제 성장 역량 확충 → 자금수요 확대 → 금융기능 활성화 → 실물경제 뒷받침의 선순환 구조를 강화
- (정책2: 비은행 기업여신 강화) 비은행의 기업 여신심사 기능을 확충하고 중소기업 대출에 대한 신용보증을 강화함으로써 가계자금 편중 현상을 완화
- (정책3: 직접금융시장 활성화) 우량 중소기업의 직접금융시장 진출을 지원함으로써 이들에게 공급되던 여신이 비우량 기업에게 돌아갈 수 있는 환경을 조성
- (정책4: 고령친화적 금융환경 조성) 금융기관 점포수 유지, 맞춤형 교육 등 고령친화적인 금융환경을 조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