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정보센터

ENG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2023년 7대 국내 트렌드 - OUR HOPE of overcoming the unknown-unknown crisis
현대경제연구원
2023.01.30
현대경제연구원은 「2023년 7대 국내 트렌드 - OUR HOPE of overcoming the unknown-unknown crisis」를 발표하였다.

- (경기) 상저하고의 가능성은? - Optimism and pessimism : 2023년 한국 경제는 불황 국면에 진입할 것이 예상되나 대내외 리스크 요인들의 향방에 따라 상대적으로 낙관적인 상저하고U자형 추세 또는 비관적인 장기 불황L자형 추세의 모습을 보일 것으로 전망.

- (성장) 초미지(超未知)의 위기 - Unknown-unknown crisis : 최근 대부분의 경제 예측 기관들이 2023년 한국 경제성장률을 2%대에서 1%대로 하향조정하는 추세인바, 이러한 저성장이 단순히 경기 변동 상의 ‘단기적인 침체 국면’에서 나타나는 현상인지, 한국 경제의 ‘구조적 결함’ 때문인지 그 원인을 알 수 없는 초미지의 위기위기의 원인과 본질에 대해 무엇을 모르는지조차 모르는 : unknown-unknown crisis상황에 직면할 것으로 보임.

- (정부정책) 추경과 피봇 - Revised supplementary budget and Pivot : 시장에서는 정부가 2023년 경제 상황 악화에 대응하기 위해 기존의 ‘물가 안정’과 ‘재정건전성 제고’ 목표 수준을 완화하면서 통화정책의 피봇Pivot, 금리인하과 재정정책의 추경 편성 가능성이 확산될 것으로 예상.

- (산업) 업종별 경기의 이질성 - Heterogeneous Business-Cycle : 2023년 거시 여건이 악화되는 가운데, 업종별로 단기적 국내외 수요 부진, 금융 시장 경색, 중장기 투자 수요 상존 등의 이질적인 리스크 요인들이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 업종 경기 사이클에 차이가 존재할 것으로 판단.

- (기업) 투자의 시간과 공간 - Overseas investment :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기업 투자의 해외 비중이 높아지면서 성장잠재력 약화와 고용창출력 유출 문제가 제기되는 가운데, 미국의 자국 중심 공급망 구축 전략으로 향후 투자 공간의 해외 이전이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

- (사회) 다가오는 초고령사회 - Post-aged society : 한국 사회는 2025년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을 목전에 두고 있으며, 이로 인해 발생하는 부양비 증가, 노인 복지 부담 등에 대한 사회 내 대응 전략 마련의 필요성이 증대될 것으로 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