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강원지역 중소기업의 ESG 경영 기대효과 분석 및 추진 방향 제언」을 발표하였다.
- 최근 공급망을 중심으로 ESG 경영이 기업의 평가 및 투자 기준으로 강조되고 있으며, 소비자뿐 아니라 대기업도 협력업체의 ESG 경영 현황을 주요 평가 요소로 고려
- 국내 사례를 살펴보면 ESG 요구 대응에 성공한 기업은 거래관계가 유지되거나 새로운 거래 기회를 얻을 수 있으나, 대응에 실패할 경우 중대한 불이익이 발생
- 강원지역에서는 상장기업 및 자산규모 상위기업 중심으로 ESG 경영이 이루어지는 가운데, 일부 중소기업도 ESG 경영을 추진 중
- [제언 및 시사점] 중소기업은 ESG 경영 도입이 비용이 아닌 투자라는 인식의 전환을 바탕으로 다양한 ESG 경영 현황을 공시하여 정보비대칭성을 해소하는 것이 바람직
- [제언 및 시사점] 정부와 지자체는 중소기업의 ESG 정보에 대한 경제주체의 접근성 제고를 위해 공시체계를 재정비하고, 국제적 정합성에 맞는 지속가능경영보고 기준을 채택할 필요
- [제언 및 시사점] 금융기관과 신용평가기관은 기업 신용평가 시 ESG 경영 현황 반영에 있어 인센티브로서의 실효성을 높이고 평가수단을 고도화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지속할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