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연구원은 「스마트그린 산업단지의 정책효과 분석과 시사점」을 발표하였다.
- 본 보고서는 정부가 스마트그린 산업단지를 지원해야 하는 근거와 필요성을 미시경제학과 환경경제학 차원에서 검토하고, 스마트그린 산업단지의 정책효과를 분석함.
- 이론적으로 스마트화는 기업의 생산성 향상을 통한 이윤의 극대화에 기여하며, 이를 통해 같은 생산비용으로 더 많은 재화 및 서비스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제 전체의 파레토 개선에 이바지할 수 있음.
- 또한 스마트그린 산업단지는 에너지사용량 저감 인프라에 대한 공급을 지원함으로써 입주기업의 탄소배출 감소에서 집적의 경제를 가져올 수 있음.
- 스마트그린 산업단지 지정 이후에 스마트그린 산업단지의 사업체당 생산액 및 수출액 및 노동생산성이 2019년1/4분기에서 2022년 1/4분기 기간 동안 각각 6.13%, 6.88%, 8.91%로 증가함을 보임.
- 성향점수매칭-이중차분법(PSM-DID) 분석 결과에서도 사업 시행 2년 후 산업단지 입주 외감 중소기업의 매출액 증가율은 비입주기업 대비 연평균 약 2.5%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영업이익률(매출액 대비 영업이익)은 약 연평균 약 1.0%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각각 1% 유의수준에서 확인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