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탄소중립을 위한 식품소비 단계의 온실가스 감축 대안과 효과분석」을 발표하였다.
- 본 보고서는 식품시스템의 온실가스 감축 잠재량을 진단하고, 식품소비 단계의 온실가스 감축 대안 발굴 및 효과를 분석하여, 식품소비 단계의 온실가스 감축 정책 수립을 위한 근거를 마련함.
-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국내 식품소비 단계의 온실가스 배출량 현황 파악을 위하여 관련 부처의 온실가스 배출 관련 통계(보고통계)를 수집·검토하였으며, 이 중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에너지통계연보, 산업연관표 등을 활용함.
- 일반연산균형모형 구축, 설문조사 및 소비자 실험 결과 값, 기존 문헌조사를 통해 수집된 값 등을 활용하여 대안별 온실가스 감축 효과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우리나라 국민 기본 식품 섭취량을 반영한 기준 시나리오와 기후친화적 식품소비 시나리오의 온실가스 발생량의 차이로 산정하여 온실가스 감축 잠재량을 추정함.
- 본 연구를 통해 식품소비 단계의 온실가스 발생 현황을 파악하고, 기존 정책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 효과를 분석하며, 공공 및 민간 주체들의 인식과 행동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공함으로써 식품 부문의 탄소중립 감축로드맵 수립 및 실천 대안 마련을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