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연구원은 「소재효율성, 순환경제 전환의 중요한 열쇠」를 발표하였다.
- 산업 부문의 생산공정에서 사용되는 자원 및 물질의 효율적인 관리를 의미하는 소재효율성은 순환경제 구축의 핵심 요소임.
- 자원과 물질의 사용량을 줄이고,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하며, 그 결과 비용을 절감하기에 환경적·경제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함.
- 탈탄소 산업구조 전환 과정에서 소재의 효율적 사용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보임.
- 생산부터 사용, 폐기 및 재활용에 이르기까지 전체 수명을 고려한 제품의 재설계, 재활용 및 바이오 기반의 지속 가능한 소재로 대체, 생산공정의 최적화를 통한 원자재, 에너지, 폐기물 감소 등은 탄소발자국 줄이기에 효과적임.
- 순환경제 시스템 구축과 소재효율성 개선을 위해서는 정부의 구체적인 지원 방안과 정책 기반 마련이 요구됨.
- 지속 가능한 소재로 생산된 제품에 대한 수요 확대, 순환경제 이행을 채택하는 기업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소재 효율 향상을 위한 핵심기술 R&D 강화, 지속 가능한 소재 및 제품에 대한 평가와 측정 방법 개발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