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미래연구원은 「좋은 사회로의 대전환 - 쏠림사회에서 개성사회로」를 발표하였다.
- 본 보고서는 좋은 사회란 구성원들이 행복하다고 느끼는 사회이고, 그러기 위해서는 기회가 많다고 구성원들이 느껴야 하는데 한국 사회는 그렇지 못하다고 지적함.
- 사람들이 기회가 많지 않다고 느끼는 가장 큰 이유로, 저자는 쏠림사회 현상을 지목함.
- 저자는 ‘다양한 형태의 성공을 지지하는 사회’를 국가미래상의 하나로 확립한 싱가포르와, 단 한 명의 낙오자도 만들지 않는다는 교육철학 아래 실제로 다양한 형태의 성공을 지지해온 핀란드를 벤치마킹 사례로 제시하고 있음.
- 그리고 대한민국의 좋은 사회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실행방안으로서, ▲5천만개의 꿈을 꾸는 개성사회로의 대전환 비전,▲개성사회 촉진을 위한 과감한 교육개혁,▲사회적 약자에게 더 많은 기회 제공 등의 세 가지 정책을 새로 제안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