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정보센터

ENG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최근 영·미간 장기금리차 역전 배경 및 평가
한국은행
2023.06.07
한국은행은 「최근 영·미간 장기금리차 역전 배경 및 평가」를 발표하였다.

- 영국 장기금리(국채 10년물 기준)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저금리기조등으로 꾸준히 하락하여 20년중 제로금리에 근접하다, 21년말 이후고물가 대응에 따른 통화긴축기조 강화로 최근 4%대까지 크게 상승

- 영국 정책금리가 미국보다 낮은 상황에서 양국간 장기금리차가 최근 역전된 배경을 살펴보고 이를 외국인의 자본유출입 측면에서 평가하고자 함

- 최근 영국과 미국간 장기금리차가 역전된 것은 양국의 ① 물가 및②성장 전망 변화에 따른 ③ 통화정책기조 기대 차이 ④ 중장기물 공급여건 차이 등 경제 펀더멘털과 국채수급 요인이 복합 작용

- (성장 전망) 연초 이후 영국의 경제 성장세는 서비스 산업 회복세 등으로 기존 전망보다 양호한 흐름을 보이고 있으나, 미국은 3월중 은행불안사태를 겪으면서 향후 신용여건 위축에 따른 경기침체 가능성을 우려

- (정책금리 전망) 최근 양국의 거시경제여건 변화를 반영하여 영국의최종 정책금리 수준이 작년말보다 크게 높아진 반면 미국은 낮아지면서금년 하반기에는 영국 정책금리 수준이 미국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

- (국채 공급여건) 영란은행은 양적긴축(QT) 방식에 있어 만기도래분 재투자 중단 외에 보유국채도 매각*하나, 미 연준은 재투자 중단만 실시하여영국의 중장기물 국채 공급부담이 미국보다 큰 편

- 최근 영국과 미국간 장기금리차 역전현상은 영국의 국내외 자본유출입유인 측면에서 파운드화 강세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