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정보센터

ENG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글로벌 자원전쟁 시대, 해외자원개발 정책의 필요성과 효율화 방안
산업연구원
2023.07.03
산업연구원은 해외자원개발 정책의 필요성과 효율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 광물자원 없이는 첨단산업의 장악도, 탄소중립에의 대응도 어려운 시대가 되었음.

- 우리나라는 반도체, 배터리, 전기차 등 미래 먹거리 산업에서부터 친환경적으로 전환되고 있는 산업발전경로까지 희소금속 확보가 더욱 절실한 상황.

- 자원개발 공기업의 재무건전성 악화와 민간기업들의 투자 위축으로 생태계가 와해되고 정치적 논리까지 더해져 관련 예산이 대폭 감소하는 등 위기를 맞았음에도 다시 해외자원개발의 추진 목소리가 고조되는 이유.

- 이제는 해외자원개발이 산업활동, 생태계 구축 차원이 아닌 에너지 안보를 확보하기 위한 정책 수단이어야 함.

- 추진 주체도 공공이 아닌 민간이 되어야 한음. 그간 기업들은 정부의 장기적인 전략 부재 속에 국가정책 기조의 잦은 변화, 자원가격 변동성 심화와 자금조달 애로 등을 겪으며 생태계에서 차츰 자리를 잃어왔음.

- 자원개발 공기업은 여전히 재무구조 개선 등 자원개발 내실화가 진행 중.

- 해외자원개발은 투자에서 성과 창출까지 장시간과 지속적인 투자를 요구.

- 해외자원개발 융자사업과 세제지원 등을 복원하여 민간기업들의 투자 여건을 강화하려는 지금, 복원 제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세심한 정책 설계가 수반되어야 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