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방세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2018년 이후 주택 보유세 부담변화의 특징을 발표하였다.
<목차>
1. 제도변화 특징
- 공시가격 현실화 정책을 통한 보유세 과표 인상
- 다주택자 보유세 부담 강화
- 1주택자 보유세 부담 완화
2. 주택자산 소유분포 변화
- 상위 분위 1주택자의 주택자산 집중도 증가(똘똘한 한 채)
- 인별 주택자산의 불균형도(지니계수) 상승
3. 세부담변화
- (’18→’21) 다주택자·고가 1주택자의 종합부동산세 부담 크게 증가
- 1주택자와 다주택자의 보유세 부담 비교
4. 상위분위가 부담하는 세부담 비중 변화
- 1주택자의 보유세 누진도, 종합부동산세 영향 미미
- 주택자산 상위 1%가 부담하는 보유세 부담 42%
5. 정책적 시사점
- 종합부동산세 성격 명확화를 통한 재산세와의 통합 가능성 점검 필요
- 보유세 부담의 예측가능성 담보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