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공공부문 거대언어모델(LLM) 오픈소스 활용방안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4.01.05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은 「공공부문 거대언어모델(LLM) 오픈소스 활용방안」 - [IT & Future Strategy (23-9)] 를 발표하였다.

- (한국형 거대언어모델 구축 선행요건) 공공기관 개별적으로 을 선택하고 구현하는 것은 노하우가 , , 부족한 상황에서 많은 시간 비용 인력이 요구됨. 보안이슈 해결 범정부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학습 수행 시, 범정부 공공데이터 관련 보안이슈 해결방안이 필요함. LLM 민간 비즈니즈 창출 구축 노하우를 가진 다양한 기업들에게 새로운 비즈니즈 창출 기반 마련. 디지털플랫폼정부의 성공적 구축과 일반 LLM 발전의 기반을 위한 표준 프레임워크 구축

- (공공기관에 적용 가능한 한국형 LLM 모델의 요건) 민간기술을 활용한 공통 Foundation Model 구축. 공공부문에 특화된 공통 Foundation Model 특성 제시. 정부에서 주도하는 공공 클라우드에서 운영될 수 있도록 공공 클라우드 자원을 확충하고 이를 기반으로 LLM 모델을 개발 및 운영. LLM 모델 기반 자연어처리 기능이 자원이 보다 적은 다양한 환경에서 운영될 수 있도록 경량화 모델 구축 및 공개 필요

- (국산 NPU LLM 기반 모델 구축 및 활용의 점진적 확대) 글로벌 AI NVIDIA 반도체 시장은 등 일부 해외 기업을 중심으로 독점화되고 있어 공급망 내 독자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노력 시급. 이러한 NVIDIA , 의 독점적 지위에 대항하기 위한 움직임이 활발히 일어나고 있으며 NVIDIA GPU NPU( 를 대체할 수 있는 국산 Neural Processing Unit) 기반 다양한 AI 사업이 정부주도로 지속적으로 추진 중임. LLM NPU . 을 학습하고 운영하는 분야에서도 활용을 점진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음. NPU AI / 다만 모델 서비스 개발은 초기단계이기 때문에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보다는 시범 구축 및 실증단계를 거친 후, 점진적으로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