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대외 리스크가 한국 경제 및 산업에 미치는 영향 - 산업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산업연구원
2024.01.26
산업연구원은 대외 리스크가 한국 경제 및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산업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 대내외 복합위기 상황에 직면하여 대외 리스크와 관련된 전문가 조사를 수행. 대외 리스크를 5대 부문 27개 유형들로 선별하고, 한국 경제 및 제조업에 대한 영향을 조사

- 대외 리스크 5대 부문과 한국 경제 영향: 경제 리스크의 위험도를 가장 크게 우려

- 대외 리스크 요인들이 국내 주요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총 11개 업종을 ICT(4개), 기계(3개), 소재ㆍ신산업(4개) 등 3대 관련 업종으로 구분하여 조사 결과를 고찰

- ICT 업종의 최대 리스크는 글로벌 경기 부진과 공급망 불안 등으로 소비심리 약화에 따른 구매력 저하, 완성품 생산 차질 및 투자수요 위축 등에 기인.
기계 업종의 최대 리스크로는 환율 불안정성과 지정학적 대립 등이 있으며, 환율 변동에 민감한 기업실적 구조와 수출시장 위축 및 물동량 축소 등이 그 배경. 소재·신산업의 최대 리스크로는 유가·원자재 가격과 기후변화 대응이 있으며, 원유·원자재를 직접 수요하는 업종 특성과 친환경 전환 요구 강화 등이 크게 작용.

- 대외 리스크 5대 부문별 중심·연관 리스크를 복합적으로 파악할 필요. 대외 리스크와 관련된 정책 대응 실태는 대부분 보통 수준(61~80%)으로 미흡 평가. 효과적인 리스크 대응을 위해서 다양한 정보 수집 노력과 다각적인 대응책 마련이 필요. 특히 국내외적으로 복합적인 위기 상황이 도래하는 경우에 대비한 다각적이고 고도화된 접근 및 대응책을 강구할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