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개발연구원은 OECD 연간근로시간을 비교·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매년 공표하는 국가별 1인당 연간 근로시간은 언론 및 학계에서 한국이 장시간 근로 국가임을 언급할 때 흔히 인용되는 통계임. 가장 최근 연도인 2022년 기준 한국의 1인당 연간 근로시간은 1,901시간(전체 취업자 기준)이며, OECD 회원국 평균(1,752시간)보다 149시간 더 길다. 이 수치를 접하는 사람들은 대개 야근 및 주말 초과근무에 시달리는 한국의 직장인들을 떠올릴 것임.
- 그러나 OECD의 연간 근로시간 통계는 주 40시간 이상 일하는 전일제 임금근로자 뿐만 아니라, 주 30시간 미만으로 단시간 근무하는 근로자(시간제 근로자) 및 자영업자 등 모든 형태의 취업자를 대상으로 함. 이 통계의 목적이 한 국가의 총노동 투입량을 측정하는 것이지, 국가 간 장시간 근로 현황을 비교하기 위한 것이 아니기 때문임. 따라서 OECD에서는 연간 근로시간 통계치의 국가 간 단순 비교를 지양할 것을 권고하고 있음(OECD, 2023).
-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른바 ‘선진국 클럽’에 속한 OECD 회원국들과 비교하여 한국의 근로시간이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면, 우리 노동시장의 현실을 이해하고 정책방향을 탐색함에 있어 유용할 것임. 본고에서는 OECD 연간 근로시간 통계를 이용하여 국가 간 연간 근로시간을 비교할 때 기본적으로 유의해야 할 점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그러한 유의사항을 고려하여 한국과 여타 국가의 연간 근로 시간을 간단히 비교분석하기로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