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의 소비재 생산과 유통 실태
통일연구원
2024.02.20
통일연구원은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의 소비재 생산과 유통 실태를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 본 연구는 북한의 대표 소비재를 내구성의 정도에 따라 식료품, 의류, 휴대전화로 구분하여 각각의 생산과 유통 실태가 김정은 집권 이후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살펴보았음. 김정은 집권 초기 정권 안정성 확보를 위해 북한당국은 민생과 직결된 소비재 생산에 자원배분을 확대하는 한편 유통 측면에서도 시장판매 경로를 제도적으로 보장하는 조치를 취했음. 그 결과, 식료품, 의류, 휴대전화의 생산?유통에서 제품의 다양성과 전국적 브랜드의 형성이 부분적으로 나타났음. 적어도, 김정은 집권 초기부터 대북제재 강화 이전까지는 소비재에 대한 수요 증가가 생산을 확대하고, 전국 시장을 대상으로 유통망이 확장되는 변화의 움직임이 제한적이나마 관찰됨.

- ‘담대한 구상’에 포함된 우리 정부의 대북 경제협력 구상은 비핵화 초기 단계에서부터 신뢰 조성을 위한 과감한 선제조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 상당 부분은 북한주민의 생활여건을 향상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음. 비핵화 단계와 연동하여 이루어질 대북 경제협력은 북한의 소비재 생산역량 제고를 통하여 생활수준을 향상시키고, 수출경쟁력을 확보하여 경제발전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 또한, 중장기적으로는 남북한 산업구조가 상호보완적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남북한 경제가 공동 발전할 수 있는 경제통합 구상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