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시장연구원은 IFRS 18 ‘재무제표의 표시와 공시’ 제정의 영향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 국제회계기준위원회는 재무제표의 표시와 공시에 관한 새로운 기준인 IFRS 18을 공표하여 2027년 1월 1일부터 적용할 예정임. IFRS 18에서는 영업이익을 투자·재무 범주 이외의 잔여 이익으로 정의할 것으로 보임. 이는 매출액에서 매출원가 및 판매비와관리비를 차감하는 현행 K-IFRS 영업이익과 금액 및 속성이 달라 정보이용자의 혼란이 예상됨.
- 1997년부터 2019년까지 미국·유럽 등 총 31개 국가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잔여 범주에 따른 포괄적 영업이익 표시는 영업 성과의 보수적인 표현을 유도하고 경영진이 영업 혹은 영업외이익을 재량적으로 분류할 유인을 원천적으로 억제할 것으로 보이나, 표시된 영업이익의 지속성과 가치관련성이 감소하여 투자자 관점의 유용성은 저하될 것으로 예상됨.
- 재무제표 주석의 비경상 손익 정보를 토대로 영업이익 내 경상 항목에 대한 중간합계 표시를 허용하여 영업 성과 정보의 유용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음. 아울러, 영업이익 정의의 변화가 우리나라 규율체계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도 면밀한 검토와 대비가 필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