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우리 기업이 주목할 만한 2024년 글로벌 기술 트렌드 전망: AI Everywhere All at Once
한국무역협회
2024.03.19
한국무역협회는 우리 기업이 주목할 만한 2024년 글로벌 기술 트렌드 전망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 세계 최대의 기술 박람회인 CES(Consumer Electronic Show) 2024가 지난 1월 9~12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코로나 팬데믹 이후 최대 규모로 개최되었음. 약 150개국에서 13만 명 이상이 참가하였고, 4,300여개의 참관 기업이 전시를 하며 올해 기술 트렌드가 담긴 신제품을 선보였음.

- CES를 기반으로 우리 기업들이 주목할 만한 2024년 기술 트렌드 전망을 예측해보자면 올해의 화두는 무엇보다도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이다. ChatGPT에 의해 촉발된 생성형 AI의 급격한 발전에 발맞춰 모든 산업군에 속한 기업이 AI 열풍에 올라타는 모습을 보이고 있음. CES 기조연설자 모두가 ‘AI가 각 산업을 어떻게 바꾸는가?’에 대한 주제로 발표하였으며 CES 역사상 처음으로 뷰티 기업인 로레알이 기조연설에서 생성형 AI를 토대로 한 제품을 선보이고, 非IT·가전기업인 HD현대가 기조연설을 통해 AI를 활용한 인류의 지속가능성 문제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음.

- 올해 기술 트렌드의 핵심주제인 인공지능 분야의 주요 이슈로는 ① 全산업에 걸친 AI 도입, ② 온디바이스(제품탑재형) AI 혁신, ③ AI 반도체 경쟁 심화가 꼽힘. 이제 AI는 하나의 산업 카테고리가 아닌 모빌리티·지속가능성·헬스케어·로봇 등 전 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메가 트렌드이자 전기와 같은 범용 기술이 되었음. 최근에는 기존 방식과 달리 클라우드나 서버를 거치지 않고 기기 자체에서 AI를 구현하는 온디바이스 AI가 주목받고 있는데 삼성전자는 최근 출시한 갤럭시 S24 및 TV 등 가전에 온디바이스 기술을 선제적으로 도입하고 있음. 엔비디아, 퀄컴, 인텔 등 기존의 시스템 반도체 강자들은 온디바이스 칩셋을 새로운 먹거리로 선택하여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으며 구글·마이크로소프트·메타와 같은 빅테크 기업은 자체 AI 반도체 개발 및 생산을 선언하여 AI 칩셋 전쟁이 본격화 될 것으로 보임.

- AI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인 만큼 우리 기업도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투자를 해나가야 할 것임. 하지만 현실은 미국과 한국의 투자규모가 잘 말해주고 있듯이 녹록치 않음. 미국은 이미 AI에 대규모 투자를 오랜 기간 해오며 2013~2022년간 AI 민간투자 누적액 기준 2,489억 달러를 기록하여 동기간 한국의 56억 달러 투자와 약 44배 격차를 보임(Stanford University). 따라서 AI 분야의 후발주자인 우리로서는 AI 밸류체인을 면밀히 분석하여 가장 효율적인 투자 분야를 선정하고, 시장에 나와 있는 AI 툴을 창의적으로 활용한 가치 창출 솔루션이 좋은 전략으로 평가됨. 또한 AI 산업이 고도화되는 만큼 AI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지원 정책을 확대할 필요가 있음.

- CES에 대한 한국기업의 참여와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단지 전시회에 참가하고 혁신상을 수상하는 홍보성 효과만 몰두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점검이 필요해 보임. 특히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의 행사 후속 관리를 지원하고, 우수하다고 평가받은 기술력이 실질적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사후 지원책까지 마련한다면 향후 CES 참가와 같은 기회들이 우리 중소기업들에게 효과적이고 의미있는 도약의 계기가 될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