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부속 연구서 : 생애주기별 건강관리서비스 수요 설문조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4.03.21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 부속 연구서를 발표하였다.

- 본고는 2023년도 기본과제인 농촌 주민의 예방적 건강관리 실태와 정책과제의 부속자료집임.

- 당뇨병,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근골격계 질환 등 대부분의 만성질환 유병률은 도시보다 농촌에서 현저히 높게 나타남. 또한, 흡연, 폭음, 운동 부족, 부실한 영양 상태 등 농촌 주민의 건강관리 실태도 도시민보다 열악하다는 것이 중론임. 이에 보건소에서는 농촌 주민의 만성질환 유병률 감소를 위해 약 11가지의 건강관리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하지만, 건강관리서비스에 대한 농촌 주민들의 인식과 참여율은 낮은 실정임. 보건소는 군 중심지에 위치하여 농촌 주민이 접근하기 어려우며, 인력과 자원이 부족하여 서비스의 총량이 작고, 그 수준도 높지 않기 때문임. 또한 건강관리서비스의 유형과 내용이 대부분 도시민을 기준으로 설정되고 공급되어 서비스 내용에 농촌 주민의 특성을 적절히 반영하지 못한 부분이 있음.

- 농촌 주민과 농촌 지역의 특성이 반영되지 않은 건강관리서비스는 서비스 미충족으로 이어지고, 결과적으로 만성질환 발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특히 서비스 수요는 주민의 생애주기 별로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 따라서 농촌 주민에게 더욱 필요하고, 효과적일 건강관리서비스의 유형을 식별하여, 제공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 조사의 목적은 첫째, 농촌 주민의 전반적인 건강실태와 건강관리 실태를 파악하는 것임. 둘째, 농촌 주민의 생애주기별 건강관리서비스의 수요와 한계를 조사하는 것임. 셋째, 농촌 주민의 건강관리서비스 참여 경험, 인식, 수요, 장애 요인을 종합적으로 이해하여 이들에게 가장 적합한 서비스 유형과 내용, 전달 방식을 제시하는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