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최근 글로벌 통화긴축기 중 미국 국채금리의 국내파급영향 확대 배경을 분석·평가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 우리나라를 비롯한 주요국 장기금리는 각 국의 상이한 금융·경제 상황에도 불구하고 과거 오랫동안 대체로 미국 장기 국채금리 변동에 연동되어 움직이는 모습을 보여왔음. 이러한 경향은 미 연준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통화긴축이 본격화되기 시작된 2022년 이후(‘글로벌 통화긴축기’) 한층 강화되는 모습임. 특히 우리나라 장기 국고채금리는 이번 글로벌 통화긴축기를 거치면서 여타 국가에 비해 미 장기 국채금리와의 동조성이 더 확대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 이러한 상황에서는 미국 국채금리가 크게 움직일 경우 국내 금융 여건도 상당한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을 것임. 이에 미국 국채금리의 국내 파급영향이 확대된 배경을 살펴보았음. 먼저 이론적 경로를 정리해 보면 ①실물경제 경로, ②통화정책 경로, ③금융 경로 3가지로 대별되며 3가지 경로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④환율 경로를 별도로 구분할 수 있음.
- 이론적 파급경로를 토대로 이번 글로벌 통화긴축기 중 미국 국채금리의 국내 파급영향이 확대된 데에는 크게 5가지 요인(①미국과의 금융연계성 강화, ②거시충격에 따른 실물경제 및 정책금리 동조화, ③투자자의 미국 국채금리 추종경향 강화, ④국채선물시장에서 외국인의 방향성 거래 확대, ⑤미 달러화 강세에 따른 위험회피 강화 및 자금조달 여건 악화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음. 특히, 최근 미국 국채금리 충격이 확대되고 국내 요인이 안정된 가운데 국내외 투자자들의 한·미 금리 동조성에 대한 경직적 기대로 미 국채금리 추종경향이 강화된 것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추정됨.
- 향후 미국 국채금리의 파급영향은 높은 미국과의 금융연계성과 투자자의 미국 국채금리 추종 경향 등을 고려할 때 당분간 높은 수준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됨. 이러한 점에서 향후 한·미 통화정책기조 전환(pivot) 과정에서 미국 국채금리의 영향으로 장기 국고채금리가 높은 변동성을 보일 경우 국내 금융여건이 이에 영향받을 가능성이 있음.
- 다만 국내 통화정책에 대한 기대가 미국과 차별화되었을 때 장기금리에 대한 미 국채금리의 영향력이 축소된 점을 고려할 때, 향후에도 국가별 물가·경기 여건에 따른 글로벌 통화정책 차별화가 본격화될 경우에는 미 국채금리의 영향력이 다소 줄어들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판단됨. 이러한 점에서 앞으로 시장참가자들의 기대가 국내 경제 상황에 맞추어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향후 통화정책 방향 등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강화에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겠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