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개발연구원은 부동산 자산시장 균형 조건과 기대인플레이션 결정요인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 본 연구는 인플레이션 전파경로로서 토지를 중심으로 한 부동산 자산시장을 분석함. 토지는 대한민국 국부의 과반을 차지하는 자산인 동시에 노동처럼 경제활동에 필수적인 재화이지만 공급이 비탄력적인 생산요소임. 이러한 아이디어에 착안하여 노동시장에서 관찰할 수 있는 필립스곡선과 같은 규칙성이 부동산 자산시장에서도 관찰되는지를 살펴봄.
- 주요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음. 첫째, 토지의 상대가격이 증가할 때 시차를 두고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음을 보임. 둘째, 기존의 기대인플레이션 지표와 부동산 자산시장에서 추출한 기대인플레이션 지표를 비교하여, 부동산 자산시장에서 추출한 기대인플레이션 지표가 유의미한 추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을 논함. 셋째, 이론적 분석을 통해 일반균형에서 토지의 상대가격과 기대인플레이션이 양의 상관관계를 가질 수 있음을 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