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미 대선에 따른 한국 자동차산업의 영향
산업연구원
2024.06.11
산업연구원은 미 대선에 따른 한국 자동차산업의 영향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 우리 자동차산업은 수출의 47.3%를 미국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러한 의존도는 빠르게 상승하고 있음. 최근 미래 자동차로 빠르게 부상하고 있는 전기차 수출은 아직 미국 시장 의존이 내연기관 승용차에 비해 높지 않지만, 그 증가 속도는 2019년 이후 2023년까지 연평균 88%에 달할 정도로 빠름. 이에 따라 미국 자동차 시장은 우리 자동차산업 및 경제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11월에 있을 미 대선은 우리 자동차 수출 등 다양한 측면에서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됨.

- 바이든과 트럼프는 자동차와 관련된 정책 등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가장 큰 부분이 환경정책, 특히 전기차 등에 관한 부분임. 트럼프가 집권하게 되면 환경정책의 후퇴로 전기차로의 전환이 상당 기간 늦추어질 전망임. 이에 따라 우리 기업의 전기차 판매가 위축되겠지만,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에도 우리가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어 수출이나 판매에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임. 트럼프 집권 시 자동차 관세는 우리 차에도 부과될 가능성이 높아 우리 수출이 영향을 받을 것임. 공급망에서는 양자 모두 중국을 배제하지만, 바이든은 동맹과의 협력을 통해 세부적으로 추진하고 있어 우리가 새로운 공급망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할 여지가 큼. 전반적으로 자국 우선주의로 미국 내 투자가 강화되겠지만, 중국의 배제로 부품산업을 중심으로 유턴이나 중국 및 글로벌 기업의 투자가 확대될 수도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