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미국 반도체 산업 인력 정책 제언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24.06.17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은 미국 반도체 산업 인력 정책 및 시사점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 미국 반도체 산업의 제조·설계 분야 숙련 노동자 문제가 공급망에 영향을 미치고 국가 경쟁력과 경제 안보를 저해할 수 있다는 분석이 제시되는 가운데, 반도체산업협회(SIA)가 인력 양성을 위한 포괄적인 정책 시행 필요성을 제언

- 미국의 경제·기술 리더십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반도체 및 기타 핵심·신흥 기술 산업에 필수적인 스킬 보유 인력 양성 정책을 우선적으로 도입 필요

- (엔지니어 및 과학자 공급 확대) 고학력 엔지니어와 과학자는 칩 제조·설계 부문 및 관련 산업의 혁신과 발전에 필수적인 요소이나 현재 심각한 인재 부족 문제에 직면

- (숙련 기술자 교육 개선) 복잡하고 기술 발전 수준이 높은 반도제 제조 공정에는 특수 재료와 정교한 기계를 다루는 산업 운영 전문가, 엔지니어링 기술자, 장비 운영자 등의 숙련 인력이 필요

- (인력 파이프라인 확장 및 재정 지원) 미국의 엔지니어·과학자 파이프라인 구축이나 숙련 기술자 양성에초점을 맞춘 정책 도입 외에도 혁신 인력 부문의 범분야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 수립이 불가피

- 우리나라도 반도체 산업 현장의 인력 부족 문제가 심화되고 있는 상황으로, ’23년도 산업 기술인력 수급실태조사에 따르면 반도체 산업 부족 인원이 ’20년 1,621명, ’21년 1,752명, ’22년 1,784명으로 매년 증가
· 정부가 「반도체 관련 인재 양성방안」(’22.7)을 수립하고 학과 정원 확대 등의 조치를 시행하고 있으나, 실제 학생들의 지원이 저조한 것으로 조사되며
관련 인식 제고와 제도적 지원 필요성 증대
· 전 세계적인 반도체 인력 수급 문제로 미국, 일본, 대만 등 주요국 간 인력 확보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됨에 따라, 우리 정부와 기업의 적극적인 대처 방안 마련이 시급
· 정부가 추진 중인 첨단기술 보유자 ‘전문 인력’ 지정·관리 제도를 조속히 시행하여 인력 누출을 제도적으로 방지하는 한편, 기업의 보상 체계와 근무
환경 개선, 재교육을 통한 반도체 기술자 수명 연장, 장기 경력 개발 기회 강화가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