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노동정책연구(2024년 제24권 제2호)
한국노동연구원
2024.07.04
한국노동연구원은 노동 관련 정책 연구보고서를 발표하였다.

- 대졸 청년층 초기 일자리 성별 임금격차에 관한 연구
·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 동안 대학을 졸업하고 최초 직장에서 임금근로자로 종사한 30세 이하 청년층 표본(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 GOMS)을 대상으로 성별 임금격차 추세와 원인을 실증분석하였음. 최근 청년층 노동시장에서 발견되는 성별 임금격차의 주된 원인은 남성 청년층의 군복무 기간에서 발생한 연령의 차이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음.

- 수직적 · 수평적 임금격차의 영향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본 연구는 조직 내 임금격차를 수평적, 수직적 격차로 구분하여 각 임금격차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탐색하였음. 2018년 7개 업종의 100인 이상 기업 214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기본급에 근속을 반영한 정도가 증가할수록 수직적 임금격차가, 직능을 반영한 정도가 증가할수록 수평적 임금격차가 증가하는 경향성을 발견하였음.

- 수도권 대졸자의 비수도권 취업에 따른 직장만족도 차이 : 통근시간의 역할 및 매개효과
· 본 연구는 수도권 소재 대학 졸업자의 비수도권 취업 여부에 따른 직장만족도 차이 및 차이의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함. 본 연구결과는 직주근접이 수도권 대졸 구직자들의 비수도권 취업과 거주를 유도하는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함.

- 성과급 활용 방식과 기업성과 : 개인 성과급과 집단 성과급을 같이 활용하는 것이 성과를 높이는가?
· 성과급이 기업성과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는 사실은 연구자들에 의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음. 그러나 성과급을 활용하는 방식과 관련해서 개인 성과급이나 집단 성과급 하나만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두 가지를 동시에 활용하는 혼합 성과급이 기업 성과를 더 크게 개선하는가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한 결론이 없는 상황임. 이론적으로는 개인 성과급과 집단 성과급을 혼합해서 사용하는 경우 시너지 효과가 나타난다는 주장과 오히려 성과를 저해시킬 수 있다는 상반된 주장이 동시에 존재함. 본 연구는 이러한 주장들을 실증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