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아프리카 지역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에너지 전환과 국제개발협력
한국개발연구원
2024.07.22
한국개발연구원은 아프리카 지역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에너지 전환과 국제개발협력에 대해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탄소 배출의 저감과 대응 문제는 글로벌 공동과제로 대두되었으며, 국제개발협력의 주요한 의제로 부상하였다. 기후변화가 시급히 해결하여야 하는 글로벌 의제가 됨에 따라, 과감한 저탄소 및 탈탄소 전기화를 추진하여야 하며, 에너지 효율화에 더하여 전기 또는 수소 설비 대체, 저탄소 에너지원과 수전해(electrolysis), 탄소 포집?이용?저장(carbon capture, use, and storage: CCUS) 등의 신기술을 적극 활용할 필요성이 대두되었음.

- 한편, 국제개발협력의 에너지 관련 사회적 가치는 지속가능한 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에서 찾아볼 수 있음. 이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등 모든 국가를 대상으로 경제성장, 환경보호 등 경제, 사회, 환경 문제에 대한 목표로서, 7번 ‘적정한 가격에 신뢰하고 지속가능한 현대적인 에너지에 대한 접근 보장’을 포함함. 구체적으로 7번 목표는 적정한 가격에 신뢰하고 지속가능한 현대적인 에너지에 대한 접근 보장 전략의 목적으로, 청정 연료 및 기술 접근성 강화, 건물?운송 및 최종 에너지로 재생에너지 통합, 에너지 시스템을 변화시키는 자금 조달과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 개발 등의 내용을 골자로 함. SDG 7번 또한 지금의 진행 속도로는 2030년까지 목표를 달성하기에는 미흡한 상황임. 주요 목표인 전력 공급과 관련하여서는 2010년 83%에서 2020년 91%까지 상승하였으나, 코로나19 팬데믹의 여파로 달성 속도가 늦추어졌음. 특히 전력 없이 생활하는 인구의 77%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 거주한다는 점이 특기할 만함.

동 보고서에서는, 에너지를 전환하는 SDGs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고자 첫째,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에너지 전환,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삶의 질과 에너지 전환 관련 국내외 의제와 최근 동향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둘째, SDGs 달성 현황과 향후 전망을 살펴보고, 에너지 전환과 관련한 SDG 7번 목표와 국제개발협력의 연계를 확인하며 마지막으로, 대륙 혹은 국가 전체를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 한발 더 나아가, SDGs 목표를 달성하는 개발협력 프로젝트에 대하여 논의함.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환경전략연구소(Institute for Global Environmental Strategies: IGES)에서 개발한 SDG 연계성 분석 및 시각화 툴(V.4)을 활용하여 아프리카 지역 SDG 7번의 상호연계성을 분석하였으며, 탄자니아 중등학교에서 시행된 솔라카우 프로젝트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음. 솔라카우 프로젝트는 개발도상국의 학생들에게 손전등을 대여하는 솔라밀크(Solar Milk)라는 형태의 태양광 충전식 시스템을 활용한 프로그램임. 솔라밀크는 손전등 형태이며 손전등 외에도 휴대용 보조 배터리, 라디오 그리고 MP3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포함함.

- 동 보고서에서 정리한 국내외 국제개발협력의 기후변화 대응과 에너지 전환 분야 동향과 전략 그리고 거시 데이터로 분석한 SDGs 상호연계성과 미시 데이터로 확인한 효과성 제고방안이 향후 에너지 전환과 관련한 시대에 우리나라 개발협력 발전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