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지역 주도의 슈퍼클러스터 구축 전락과 과제
산업연구원
2024.08.30
산업연구원은 지역 주도의 슈퍼클러스터 구축 전략과 과제를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 최근의 글로벌 경기 위축과 고인플레이션, 글로벌 공급망 재편 등 경제ㆍ사회 전반의 불확실성을 증가시키는 다양한 위기 요인으로 인해 지역의 경제 회복은 지연되고 있으며, 내부적으로는 성숙기가 지난 지역 주력제조업의 쇠퇴와 청년층의 지속적인 수도권 인구유출이 지역의 위기와 불균형을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 이에 지역의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며,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조성 등 지역에서 첨단ㆍ신산업이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려는 정부의 계획은 이에 대한 대응 조치로 해석됨.

- 하지만 미래 유망 분야와 관련한 주요 신기술은 혁신역량이 높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편중된 경향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그간 지역산업 발전과 혁신의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어 온 지역의 클러스터는 지나친 특화 및 과도한 폐쇄성으로 인해 점차 경쟁력을 상실하고 있는 상황임. 이에 지역이 대내외 환경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미래 유망산업을 지역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술의 다양성 확보와 연계, 초지역적 참여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클러스터의 새로운 대안 모델 구축이 요구됨. 디지털 전환에 따른 지식과 정보의 빠른 확산, 기술의 융ㆍ복합 가속화는 클러스터 간 글로벌 연계를 요구하고 있으며, 세계 주요국은 이미 기존의 클러스터 프로그램에 변화를 주어 대규모의 통합이나 신규 추진을 통해 새로운 범국가적 슈퍼클러스터로 전환하고자 시도하고 있음. 이에 국내에서도 이러한 흐름에 대응하여 클러스터의 새로운 대안 모델을 발굴하고 활성화 방향을 모색하는 연구가 요구됨.

- 본 연구의 목적은 첨단산업 등 미래 유망분야에 대한 정부의 육성 의지를 지역에서 실현하고, 이를 통한 지역의 경쟁력 제고를 도모하는 수단으로서 클러스터의 새로운 성장모델 발굴 및 이를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음. 단일 지역, 단일 클러스터가 가지는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대안모델로서 슈퍼클러스터를 제시하고 경제활동의 공간적ㆍ산업적 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현상을 반영한 슈퍼클러스터 식별 및 예상되는 경제적 효과를 추정함. 이를 토대로 슈퍼클러스터의 효과적인 구축과 운영을 위해 설계와 도입, 운영단계에서 요구되는 추진 전략을 제시하고, 슈퍼클러스터의 활용성 제고 측면에서 슈퍼클러스터를 활용한 지역산업 발전전략을 모색하는 데 중점을 둠.

- 슈퍼클러스터는 기존 클러스터 정책의 대안적 틀을 제시함으로써 현 정부의 첨단산업 육성 의지를 실현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또한 수도권을 경쟁 대상이 아닌 기능과 자원을 공유하는 협력 관계로 바라보고 상호 연계를 위한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지역균형발전에 대한 중요한 함의를 제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