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프랑스 인구위기의 사회적 구성및 가족정책의 시사점
국회입법조사처
2024.09.26
국회입법조사처는 프랑스 인구위기의 사회적 구성및 가족정책의 시사점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 프랑스의 합계출산율은 1997년 처음으로 OECD 평균을 상회하기 시작한 이래 2001년부터는 줄곧 0.2명 이상의 격차를 유지하고 있음. 이와 같은 프랑스의 인상적인 인구관리는 일반적으로 프랑스 가족정책의 성공에 기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 왔음. 프랑스의 가족정책은 초저출산 장기지속 상태가 심화하고 있는 한국 사회가 저출산 대응의 전환점을 모색하는 데 참고 사례가 되어 왔음. 하지만 인구위기가 거시적이고 중장기적인 의제라는 점에서 프랑스의 가족수당을 소개하고 특정 제도의 도입 필요성을 주장하는 것만으로는 제한적인 성과에 그칠 가능성이 큼.

- 이런 맥락에서 보고서는 과거로부터 현재까지의 프랑스 가족정책의 형성 배경과 전개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왜 오늘날 그러한 모습을 갖추게 되었는지를 이해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여 한국사회의 인구위기 대응 방향을 점검해 보기 위해 작성되었음.

- 목차 -
Ⅰ. 인구위기 대응 모범 사례로서의 프랑스 가족정책
Ⅱ. 프랑스 인구위기의 사회적 구성과 가족정책의 기원
Ⅲ. 프랑스 가족정책의 전개과정
Ⅳ. 프랑스 가족정책의 체계 및 현황
Ⅴ. 한국의 인구위기 대응에 대한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