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역협회는 보고서를 통해 자연자본 공시 확대에 따른 기업대응전략을 발간하였다.
- 자연자본 공시는 공시 기준의 글로벌 표준화, 비즈니스 중심의 공시 요구, 재무 정보와의 연계 등으로 강화되고 있다. 이에 기업은 재무 공시, ESG 공시와 함께 기업 보고의 중대한 한 축으로서 자연자본 공시가 자리매김한다는 패러다임 변화를 인식하고 빠르게 이행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우선 사업영역과 공급망에 있어서 자연의 경제적, 재정적 관련성을 이해하는 것을 바탕으로, 자연의 구성요소(영역, 생물군계, 환경 자산, 생태계 서비스 등), 생물다양성, 자연 관련 의존도, 영향, 위험 및 기회 등의 개념을 먼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자사와 연관된 자연자본을 정의하고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전사적인 차원에서 자연자본 목표 운용 모델을 설계하고 현재 재무보고 체계와 유사한 수준의 자연자본 공시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TNFD의 권고안 등을 참고해 전사 차원에서 경영 전략을 수립하고 단계별로 내부 실사 평가를 시행해 자연자본을 포함한 ESG 전반의 데이터를 수집·측정하는 체계를 갖추고,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도입하고 공시 과정을 내재화하는 등 선제적 대비가 필요하다.
<목차>
1. 연구 배경
2. 자연자본 공시 국내외 동향
1) 유엔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GBF)
2) TNFD(자연자본 관련 재무정보 공개협의체) 권고안
3) EU 지속가능성 공시지침과 자연복원법
4) 한국 생물다양성 전략
3. 자연손실 위험의 재무적 영향 사례
1) 불법 삼림벌채 업체와의 거래 의혹으로 주가 하락
2) 삼림벌채 연루 회사와의 거래로 고소
3) 자연손실 책임회피로 주가와 평판 하락
4) 소송으로 벌금, 제조허가 취소
4. 자연자본 공시 우수 기업 사례
1) 이베르드롤라(Iberdrola, 스페인)
2) 포리코(Forico, 호주)
3) 기린(KIRIN, 일본)
4) 세일즈포스(Salesforce, 미국)
5) NEC(Nippon Electric Company, 일본)
6) 닛스이(Nissui, 일본)
5. 결론 및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