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토지주택연구원은 사회경제적 환경 변화에 대응한 신혼부부의 주거 안정성에 관한 기초 연구보고서를 발표하였다.
[연구배경]
- 본 연구의 목적은 신혼부부의 주거 안정성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설정하고 이에 관련된 주요 특성 및 측정 지표를 설정하는 것이 목적임
- 동기부여 이론 및 가족 발달이론의 고찰과 사회경제적 변화에 관한 선행 연구를 통해 본 연구의 이론적 틀을 구축하고 주거 안정성의 조작적 정의와 5가지 하위 특성과 측정 지표를 설정하고자 함
[연구결과 및 시사점]
- 주거 안정성의 개념을 “주거”에 한정시켜 물리적·공간적 정책지원에 국한되기보다는 인간의 삶 차원에서 바라보는 주거 안정성의 개념으로 개편하여 더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추진하는 것이 필요
- 주거와 관련된 통계자료는 확장된 주거 안정성의 개념을 반영하기에는 제한적이어서 기존 통계자료의 강화, 타 기관의 통계자료와의 연계성 검토 또는 주거와 관련한 패널자료의 구축을 검토 필요
-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고자 공공주택 특별공급, 주택구매용 대출이자 지원, 출산·양육 지원 대책 등과 같이 다양하게 지원하고 있지만 이들 지원정책에 대한 평가는 다소 미흡한 상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