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지방분산과 균형발전을 통한 인구 저출산 대응 전략(교육부문)
국토연구원
2024.11.25
국토연구원은 지방분산과 균형발전을 통한 인구 저출산 대응 전략을 모색한 보고서 교육부문 편을 발표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지역별 교육격차의 현황을 교육의 투입, 과정, 산출이라는 관점에서 비교하여 어떤 교육적 요인이 지역 간의 교육격차로 나타는가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별 저출생 현상과의 연관성을 밝히고자 함. 따라서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교육격차가 저출생과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가를 밝히고, 이를 근거로 교육격차의 개선 방안을 마련하여 지역별 저출생 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교육적 방안을 마련하는 것임.

- 지역별 교육격차와 저출생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이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음.

- 첫째, 지역별 교육격차의 현황을 분석한다. 초중등교육에 대한 지역별 교육격차의 현황은 학교효과 연구에서 활용하고 있는 투입-과정-산출 모형을 통해 비교하고자 함. 학교효과 연구에서 학교효과는 학교가 전적으로 책임지는 부분과 학교 외적인 요소를 구분하고 학교가 전적으로 책임지는 부분에 대한 효과를 비교하여 효과적인 학교와 학교 요인을 밝히는 연구임.

- 둘째, 지역별 학교교육의 효과 변화를 파악하고자 함. 학교교육과 관련된 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지역별 학교교육의 효과가 어떻게 변하였는가를 파악하고자 함. 투입-과정-산출 요인의 효과가 어떻게 변하였는가를 파악하여 지역별 저출생과의 관련성을 파악할 수 있는 요인과 지표를 생성함. 이를 통해 학교교육의 격차 변화와 출생률의 변화 양상을 파악할 수 있음.

- 셋째, 학생 인구의 이동과 이동 요인을 파악함. 고등학교에서 대학, 취업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은 지역 인재의 유출과 관련하여 많은 논쟁을 일으키고 있음. 실제로 대학 진학과 취업으로 연결되는 지역 이동의 현황과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지역 정주에 도움이 되는 요인을 파악할 수 있음.

- 넷째, 지역의 교육격차 요인과 지역의 출생률 사이의 관계를 파악함. 특히, 공교육비와 사교육의 지출 규모와 지역 출생률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고, 지역의 학교교육 요인의 효과를 파악하고자 함. 이를 통해서 지역의 출생률 제고를 위한 요인을 파악할 수 있음.

- 다섯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의 출생률 제고를 위한 정책 방안을 도출함. 지역 교육격차의 현황, 지역의 교육격차와 출생률의 관계 그리고 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 출생률 제고를 위한 교육 정책의 방안을 마련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