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전망·동향
미취업 청년의 취업준비 실태조사 결과
한국경영자총협회
2024.12.02
한국경영자총협회는 미취업 청년의 취업준비 실태조사 결과를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 올해 하반기 취업환경 「상반기보다 악화」 43.1%
· 하반기 취업환경 악화 이유: ‘경기 침체 지속’ 74.7%, ‘청년 실업 심화로 인한 일자리 경쟁 격화’ 71.0% 등(복수응답)

- 취업준비가장큰애로사항?직무관련경험,경력개발기회부족? 69.0%
· 그 외 응답은 ‘취업하고자 하는 일자리 정보 획득’ 52.3%, ‘직무 관련 자격증 취득’ 34.5%, ‘학점, 외국어 점수 취득’ 20.2% 순(복수응답)
· 직무 관련 일경험의 중요성을 체감하고 있으면서도, 취업준비 과정에서 직무를 경험하거나 경력개발을 할 수 있는 기회나 정보가 부족한 상황

- 미취업 청년들이 희망하는 일경험 분야: 인문계열 전공자 「재무·회계」, 「마케팅·광고」, 「인사관리·노무」, 이공계열 전공자 「IT·SW」, 「생산관리」, 「연구·R&D」
· 응답자의 전공에 따라 희망하는 일경험 직무 분야에 다소 차이

- 미취업 청년의 「괜찮은 일자리」 판단 기준: 「워라밸」 59.2%, 「좋은 복지제도」 54.2%, 「공정한 보상」 50.1%
· ‘괜찮은 일자리’ 판단 기준: ‘워라밸’ 59.2%, ‘복리후생·복지제도’ 54.2%, ‘공정한 보상’ 50.1% 등(복수응답)
· 연공서열이 아닌 성과에 따른 평가?보상을 원하며, 개인의 삶 중시하는 인식 반영
· 여성이 남성보다 ‘복리후생·복지제도’, ‘공정한 보상’, ‘고용 안정성’을 더 중시

- 미취업 청년이생각하는 「괜찮은 일자리」 연봉은 3천만원대, 수도권 소재
· ‘괜찮은 일자리’ 신입사원 연봉 수준: ‘3천만원~4천만원’ 50.5%, ‘2천5백만원~3천만원’ 32.4%, ‘4천만원~5천만원’ 12.5%, ‘5천만원 이상’ 4.6% 순
· ‘괜찮은 일자리’ 소재 지역: ‘수도권’ 61.2% ,‘지역 무관’ 19.9%, ‘지방’ 18.9%
· 수도권 거주자는 수도권 선호 뚜렷, 지방 거주자는 괜찮은 일자리 지역에 대한 응답 비율에 큰 차이 없는 것으로 조사

- 취업 준비과정에서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 활용 경험 「있음」 42.6%
· 20대가 30대보다 생성형 AI 활용 경험 비율이 14.7%p 높고(46.7% vs 32.0%), 이공계열 전공자가 인문계열 전공자보다 활용 경험 비율이 13%p 높은 것(50.2% vs 37.2%)으로 조사
·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한 주된 이유는 ‘자기소개서 작성 지원’ 60.1%

- 「미취업 청년의 취업준비 실태조사」는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전국 20~34세 남녀 구직자 1,000명(응답자 기준)을 대상으로 2024년 9월 30일부터 10월 17일까지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하여 조사한 결과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