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생물다양성 리스크와 기업의 대응전략 II : 주요 공시와 기업 사례 중심으로
대신경제연구소
2024.12.03
대신경제연구소는 생물다양성 리스크와 기업의 대응전략을 주요 공시와 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 기후위기로 인해 생태계의 균형이 무너지고 깨끗한 물, 맑은 공기 외 여러 천연자원들의 수급이 어려워지면서 생물다양성의 중요성이 대두되었음. 생물다양성 손실은 생태계 서비스의 감소와 질병의 전파로 이어져 기업들에게 원자재 가격 상승, 인력 손실 등 다양한 리스크를 추후 가져올 수 있음.

- 이에 대응해 TNFD, GRI 101 및 ESRS E4 등 생물다양성 관련 공시기준이 등장하였음. 해당 공시에 따르면 기업들은 공급망 전체에서 생물다양성 관련 위험 및 기회를 식별하고, 대응방안을 마련해야 함.

- 국내 주요 기업들의 생물다양성 공시 동향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기업들이 생태계 복원활동 등 여러 생물다양성 활동들을 전개하고는 있었으나, 신한금융그룹과, SK 주식회사 등 TNFD 협의체에 가입한 일부 기업만 공시하고 있었고 , 대부분의 기업들에서 생물다양성 전략이나 생물다양성 영향의 위험 및 기회, 리스크 평가체계 내용 공시가 부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음. 반면, 기린홀딩스나 차런폭펀드 그룹과 같이 TNFD 가이드라인에 따라 생물다양성 공시를 하고 있는 해외기업들의 경우 생물다양성 전략을 수립하고 ENCORE, IBAT 과 같은 프로그램들을 활용해 생물다양성 위험 및 기회를 평가하고 있다는 사실을 공시하고 있었음.

- 생물다양성 보존이 선택이 아닌 필수로 다가온만큼 기업은 2024 년 개정된 GRI 101 을 포함해 생물다양성 주요 공시기준을 우선적으로 숙지해야 하며, 전략체계수립과 더불어 공급망 전체에서 생물다양성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관리체계 수립이 시급함. 기업들은 정확한 생물다양성 측정 기술 개발과 여러 사업장 인근 지역 생물다양성 정보의 통합적 관리를 통해 체계적인 공시 대응을 준비해야 할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