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지속가능한 대학-지역 동반 성장을 위한 해외대학 혁신사례 분석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24.12.04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은 지속가능한 대학-지역 동반 성장을 위한 해외대학 혁신사례를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 지역 발전전략-지방대학 연계 혁신 창출 선순환 체계 마련 필수
· 제1차 지방시대 종합계획(2013~2027)에서도 발표된 바와 같이 교육과 지역 정주여건의 수도권-비수도권 격차 확대는 지속적인 지방의 인구유출로 이어지고 있는 상황임
· 특히 지방에서 육성한 인재 또한 수도권으로 유출이 지속되면서 지역의 인력난 및 지역의 혁신역량 저하로의 악순환이 확대되고 있음
· 이에 지역의 발전전략-지방대학 간의 연계를 강화하여 지방대학 중심의 지역혁신 생태계를 창출하는 선순환 체계의 마련은 선택이 아닌 필수사항이라 할 수 있음

- 경북의 인구감소, 청년유출, 산업경쟁력 약화로 지역소멸 위기 가중
· 경북지역의 학령인구 급감은 대학생존율 하락-청년유출 가속화로 나타남. 경북의 산업경쟁력 또한 약화되고 있음.
· 이에 경북의 발전전략과 연계하여 경북의 지역적 특성을 충분히 활용하고 경북의 산업생태계와 맞물린 지역인재 육성을 위한 대학의 혁신전략 마련이 요구됨

- 연구의 목적
· 지방시대위원회와 교육부는 2023년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글로컬 대학 30, 교육발전특구 정책을 발표하고 인재양성-취·창업-정주에 이르는 선순환 체계 구축 모델을 제시하였음
· 경북 또한 RISE센터 설치, 글로컬 대학 30 본지정, 교육발전특구로 선정 등 그 어느 지역보다 지역발전전략-지역대학 연계-지역살리기를 위해 적극적으로 뛰고 있음
· 해외의 지역연계 대학혁신 사례 조사 및 경북에 시사, 경북도청을 중심으로 지역기반 대학혁신을 주도함
· 창업 전단계 지원, 강소기업·외국인 정주 인력 양성 특화, 대학교육 수요자 범주 확대에 대한 해외사례 분석, 시사점 도출